민간보다 낮은 보수, 점점 커지는 박탈감
“9급만 챙기지 말라”는 목소리 고조
공직 떠나는 MZ세대, 급여가 가장 큰 원인

9급 초임만 챙긴다는 불만이 커지면서 공직 사회 내부에서 균열이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5~10년 차 중저연차 공무원들은 늘어나는 생활비에 비해 임금은 정체돼 있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직을 고민하는 MZ세대도 점점 늘고 있는 가운데, 공무원 노조는 내년 임금 6.6% 인상과 함께 전 직급의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민간과의 임금 격차 “역대 최대”

전국공무원노동조합과 공무원·교원 생존권 쟁취 공동투쟁위원회는 지난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기자회견에서 내년도 공무원 임금을 6.6% 인상하고 각종 수당을 대폭 조정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은 “2023년 기준 공무원 임금은 100인 이상 민간 사업장 대비 83.1% 수준에 불과하다”며, 공공부문 임금이 민간보다 지나치게 낮아졌다는 점을 지적했다.
공무원노조는 ▲정액급식비 3만원 인상 ▲6급 이하 직급보조비 3만5000원 인상 ▲교사 직급보조비 신설 ▲초과근무수당 인상 등을 포함한 임금 및 수당 개편안을 제시했다.
또한 윤석열 정부의 ‘작은 정부’ 기조 폐기와 공공행정 예산 확대를 촉구하며, 5개년 계획을 통해 공무원 보수를 민간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간 연차가 가장 소외받는다”

공무원보수위원회가 이달 말 본격 가동되는 가운데, 중간 직급 공무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9급 초임은 올해 기본 인상분 3.0%에 추가 3.6%를 더해 6.6%가 인상되면서 처음으로 월급 200만원을 넘겼지만, 7~9급의 중간 호봉은 인상률이 0.6~3.3%에 그쳤다.
특히 결혼, 출산, 자녀 교육비 등 지출이 급증하는 30~40대 공무원들은 임금 수준이 가계 지출을 따라가지 못한다고 토로하고 있다.
실제로 7~9급이 많은 39세 이하 공무원의 평균 임금은 345만원인데 반해 평균 지출은 403만원에 달하며, 49세 이하 공무원도 수입보다 지출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직 의향 높은 MZ세대, “낮은 보수”가 원인

공무원 시험의 경쟁률이 급감하고 이직 의향이 높아지는 현실 또한 공직의 매력이 예전 같지 않다는 방증이다.
2023년 기준, 신규 임용 공무원의 퇴직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이직 사유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항목은 ‘낮은 보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30대 공무원의 43%가 이직을 고민하고 있으며, 퇴직자의 23.7%가 임용 5년 이내 신규 공무원이다.
모든 연차에 퍼져가는 처우 개선 요구와 함께, 공무원 노조는 지원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보고 있다. 불용 인건비가 아닌 별도의 예산을 통해, 전 직급 공무원이 실질적인 보상 체계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공무원보수위원회는 오는 30일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보수 인상 논의에 착수한다.
50대는 봉이냐.개고생만허고 연긍도 연장시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