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도 공사도 멈췄다
IMF 이후 가장 가파른 추락
정부, 급한 불 끄기 나섰다

올해 1분기 국내 건설업이 외환위기 이후 최대폭으로 위축되면서 정부가 긴급 대응에 나섰다.
공공·민간 부문 모두 공사 물량이 줄어든 가운데, 중소 건설사를 중심으로 법정관리 신청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총 2조 7000억 원 규모의 건설 경기 지원책을 포함한 추가경정예산(추경)을 발표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건설기성(공사 실적)은 전년 대비 21.2% 줄어들었다. 이는 1998년 외환위기 당시 기록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업계 전반에서 착공·수주·건축허가 등 주요 지표가 일제히 감소하며, 장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건설사 부채 급증… 중소업체 법정관리 속출

지난해 중견 건설사 34곳의 평균 부채비율은 203%로, 전년보다 66%포인트 상승했다. 일부 업체는 700%를 넘는 부채비율을 기록하며 재무건전성 악화가 심화됐다.
같은 해 영업이익은 31% 감소한 4조 6182억 원에 그쳤고, 매출원가율은 92%에 달해 수익성도 크게 떨어졌다.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자금 회수 지연, 미분양 물량 증가 등이 겹치면서 중소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최소 11개 건설사가 회생절차에 돌입했다.
정부, 2.7조 투입… PF보증·미분양 매입 등 병행

정부는 추경을 통해 총 2조 7000억 원 규모의 건설 경기 부양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개발사업에 공공이 초기 투자자로 참여하는 앵커리츠(Anchor REITs)에 3000억 원, 중소건설사 대상 PF 보증에 2000억 원, 미분양 주택 환매 지원에 3000억 원 등이 포함됐다.
이를 통해 약 5조 4000억 원 규모의 유동성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PF 특별보증은 시공능력평가 순위 100위 밖의 중소업체를 대상으로 하며, 보증 한도를 최대 70%까지 늘려 실수요 기반 사업장을 선별 지원한다. 미분양 환매는 지방을 중심으로 약 1만 가구 규모로 진행된다.
근본 대책은 부족… 업계, 장기 침체 우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추경이 단기 유동성 문제를 완화하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건설업 전반의 수익 구조나 체질 개선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민간 수요 위축, 고금리 환경, 분양가 규제 등 구조적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박선구 실장은 “이번 추경은 급한 불을 끄기 위한 조치일 뿐”이라며 “건설업 정상화를 위해서는 규제 완화, 수익성 회복 등 중장기 대책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무너진 현장을 되살리는 데 필요한 것은 단순한 자금 투입이 아닌, 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방에다 의료 문화 상업이 갖춰진 신도시를 만들고 전원주택 단지를 개발 분양하면 은퇴자들이 대사 이주할텐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