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 덕에 겨우 먹고사는데 “이마저도 못 받는다고?”… 국회 발표에 고령층 ‘이럴 수가’

노인 10명 중 7명 받는 연금
대상 줄고 금액 늘린다
“나도 빠지나” 불안 확산
연금
사진 = 뉴스1

“지금도 빠듯한데, 연금까지 못 받게 되면 어쩌란 말인가요.”

74세 김 모 씨는 매달 기초연금 34만 원으로 약값과 생활비 일부를 간신히 감당하고 있다.

남편은 이미 세상을 떠났고, 자녀들 역시 사정이 넉넉지 않아 손 벌릴 수도 없다. 김 씨에게 기초연금은 사막 속 오아시스 같은 마지막 버팀목이다.

그런 김 씨는 최근 국회에서 발표된 ‘기초연금 개편’ 소식에 마음이 무거워졌다.

기초연금 수급 대상을 지금의 노인 70%에서 절반 이하로 줄이고, 대신 지급액을 늘리는 주장이 언급됐기 때문이다.

기초연금, 지금처럼 줄 수 없다?

연금
사진 = 연합뉴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는 지난 14일, 기초연금을 포함한 전체 노후소득보장 체계를 손보는 구조개혁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기초연금은 국민연금 등 기존 제도의 보완 성격으로 2014년부터 시행돼 왔으며, 현재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 노인에게 월 최대 34만 원을 지급한다.

하지만 고령화로 인해 재정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기초연금 지출은 2024년 27조 원에서 2070년에는 약 43조 원까지 늘 것으로 전망된다.

연금
사진 = 연합뉴스

이에 따라 향후 수급 대상을 축소하고, 저소득 노인에게 혜택을 집중하는 ‘최저소득 보장형’ 개편안이 힘을 얻고 있다.

복지 시민단체 ‘내가만드는복지국가’는 “기초연금의 지급 대상을 줄이되 금액은 늘리는 방식이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현재처럼 ‘노인 비율’에 따라 지급하는 방식은 베이비붐 세대의 노인 진입 이후 불공정하다는 지적도 많다.

“연 9천만 원 벌어도 받는다”… 기준 논란 확산

연금
사진 = 연합뉴스

지금처럼 70%에게 연금을 주기 위해선 수급 기준도 해마다 조정되기 때문에, 수급 대상이 지나치게 넓다는 지적도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기초연금 수급 기준인 월 소득인정액은 단독가구 기준 228만 원이다.

이 기준에 따르면, 실질 소득이 월 437만 원에 달하는 독거노인도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맞벌이 노인 부부의 경우, 월 745만 원까지 벌어도 기초연금 대상이 된다.

이런 상황에서, 세금을 내는 젊은 세대보다 수급 노인의 소득이 더 높은 경우까지 발생하면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카이스트 김우창 교수는 “젊은 층은 자신보다 더 버는 노인에게 세금으로 연금을 줘야 하는 상황”이라며 “수급 대상은 줄이고, 소득 하위층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제도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럽보다 적은 연금, 높은 노인빈곤율

연금
사진 = 연합뉴스

연금이 노인 빈곤 해소에 충분히 기여하고 있느냐는 점도 문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 가구의 소득 중 연금이 차지하는 비율은 단독가구 기준 33.8%에 그친다. 유럽 주요 8개국은 70~80% 수준이다.

공적연금의 소득대체율 역시 유럽 국가들은 대부분 50%를 넘기지만, 한국은 36.4%로 낮다.

그 결과,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35.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상위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연금
사진 =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기초연금이 부족한 노후 소득을 보완하고, 국민연금은 낸 만큼 돌려받는 구조로 명확히 역할을 나눠야 한다고 강조한다.

기초연금 제도는 오랜 시간 노인의 최소한의 생계를 돕는 역할을 해왔지만, 지금처럼 수급 대상을 넓게 유지하는 방식은 더 이상 지속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

재정 부담이 커지는 만큼, 지원의 범위를 조정하고 꼭 필요한 이에게 집중하는 방향으로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정부와 전문가들의 공통된 입장이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9

관심 집중 콘텐츠

“한국 경제 이끌었지만” … 베이비붐 세대 비극에 누구도 손 내밀지 않는 ‘이유’

더보기
Roborac

韓 1위 차지하더니 “삼성·LG 전부 삼켰다” .. 中 공세에 업계 ‘속수무책’

더보기
Hanmi Semiconductor

“글로벌 왕좌 오르자마자 ‘8년’ 묵은 폭탄 터진다”… SK 흔들리자 삼성 ‘활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