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많아도 걱정” .. 늙어 돈 많으면 마냥 좋을 줄 았았는데, ‘대체 왜’

65세에서 74세 사이의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
노인이 겪는 사회적 불안감
돈
사진 = 게티이미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신규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 인구가 경험하는 사회적 불안감이 그들의 재산 수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65세에서 74세 사이의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재산의 많고 적음이 노년기의 심리적 안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노년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직장 생활을 마치고 정기적인 소득이 감소하거나 중단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는 의료 비용 증가 등 불확실한 재정적 필요가 커진다.

돈
사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이에 따라 재산은 노년기의 중요한 안정 요소로 자리잡고,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연구에 따르면, 소득과 재산이 낮은 노인들은 격차와 경쟁, 불공정 및 적응 실패와 관련된 사회적 불안을 높게 느낀다고 말했다.

재산 수준이 낮은 노인들은 경제적 불안정성에 따라 격차와 경쟁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로 인해 불공정과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을 높게 경험한다고 밝혔다.

돈
사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반면, 재산 수준이 높은 노인들은 재산 상실의 우려로 인해 개인의 안전에 대한 불안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산과 소득 수준이 높은 집단은 경쟁과 불공정에 대한 불안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안전에 대한 불안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정책적 제언

돈
사진 = 게티이미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이아영 연구위원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이 경제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사회적으로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재산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적 접근과 함께 노인들이 겪는 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디지털 금융서비스 교육을 통해 노인들이 자산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노인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고 사회적 불안감을 줄이기 위한 정책 방향 설정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드디어 희망이 생겼다” .. 췌장암, 완치 가능 소식에 ‘어머나’

더보기
스바루 WRX STI S210 한정판 공개

“이런 성능이 가능?” … 296마력 세단, 살 떨리는 스펙에 ‘감동’

더보기
패딩세탁

“세탁소? 이젠 안 가도 됩니다” … 집에서 하는 패딩 ‘초간단’ 세탁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