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 후 한 잔 “이마저도 부담스럽다” … 심상치 않은 소식에 서민들 ‘씁쓸’

맥주 가격도 오르는 시대
카스도 결국 버티지 못했다
고물가에 소비자 시름 깊어져
서민
맥주 가격 인상 / 출처 = 뉴스1

“그나마 술 한 캔에 위로받았는데, 이제 그것도 쉽지 않게 생겼다.”

오비맥주가 국내 맥주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인 ‘카스’를 비롯한 주요 제품의 공장 출고가를 4월 1일부터 평균 2.9% 인상한다고 21일 밝혔다.

고환율과 원자잿값 상승에 따른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입장이지만, 국민의 장바구니 부담은 또다시 커질 전망이다.

1년 반 만에 가격 인상

서민
맥주 가격 인상 / 출처 = 뉴스1

카스의 가격 인상은 2023년 10월 이후 약 1년 6개월 만이다. 다만, 소비자 접점이 많은 마트용 카스 500㎖ 캔 제품 가격은 기존대로 유지되며, 대용량 묶음 판매 행사도 계속된다고 오비맥주는 설명했다.

업계는 오비맥주의 이 같은 조치가 시장 전체의 가격 조정 신호탄이 될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023년에도 오비맥주가 가격을 올린 뒤 한 달 만에 하이트진로가 테라와 켈리 등 주요 맥주 제품과 참이슬 소주 가격을 잇따라 올린 바 있다.

다만, 현재 하이트진로나 롯데칠성음료 측은 “아직 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은 상태다.

수입맥주도 연쇄 인상…술값 전반 들썩

서민
맥주 가격 인상 / 출처 = 연합뉴스

카스뿐 아니라 수입맥주도 줄줄이 가격을 올리고 있다.

앞서 이달부터 롯데아사히주류는 아사히 맥주 가격을 최대 20% 인상했다. 오비맥주 역시 지난해 11월부터는 호가든, 스텔라, 산토리 등 6종 수입맥주 가격을 상향 조정했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단순히 원가 부담 때문만이 아니라, 유통 구조 개편이나 브랜드별 마진 재조정 등 다양한 요소들이 함께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외 맥주 전반에 걸쳐 가격이 오르면서, 소비자들이 편의점이나 마트, 온라인몰에서 체감하는 술값 부담도 덩달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작년보다 살기 더 힘들다”…7명 중 5명 체감

서민
맥주 가격 인상 / 출처 = 연합뉴스

가격 인상은 체감 경기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20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7명(71.5%)이 “가계 형편이 작년보다 나빠졌다”고 답했다.

‘물가 상승’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고, 실제로 식료품과 외식비를 포함한 생활물가 인상이 가장 큰 부담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로는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불안’(9.5%)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물가가 가장 크게 오른 분야로 식품·외식비(72.0%)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가계경제 악화 정도를 수치로 환산하면 평균 7.7%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내년 전망에 대해서도 64.2%가 ‘더 나빠질 것’이라고 답하며 비관적인 시각이 우세했다.

이러한 상황 속, 국민 대다수가 가장 시급한 정책 과제로 ‘생필품 가격 안정화’(58.4%)를 꼽았다. 에너지 가격 안정(13.9%)과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등도 뒤를 이었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서울시와 ’20년 전쟁’ 끝났다” .. 녹물 아파트, 49층 타워로 ‘천지개벽’ 예고에 ‘과연’

더보기

“한국 경제 이끌었지만” … 베이비붐 세대 비극에 누구도 손 내밀지 않는 ‘이유’

더보기
Roborac

韓 1위 차지하더니 “삼성·LG 전부 삼켰다” .. 中 공세에 업계 ‘속수무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