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 우르르 몰리는데 “정부의 초강력 승부수”… 하루 만에 시장 얼어붙자 ‘발칵’

서울 강남·용산 거래 ‘뚝’ 끊겼다
규제 피한 인접 지역은 ‘들썩’
정부
사진 = 연합뉴스

“어제까지만 해도 전화벨이 끊이지 않았는데, 오늘은 단 한 통도 없습니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A 공인중개사는 24일 오전을 이렇게 표현했다. 불과 하루 사이 시장 분위기는 180도 달라졌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 전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서 부동산 시장이 순식간에 얼어붙었다.

정부가 예고 없이 전격 발표한 규제였던 만큼 매도인과 매수인 모두 발을 뗀 채 관망세로 돌아선 분위기다.

부동산 현장에서는 “이렇게 갑자기 거래가 멈춘 건 처음”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하루 만에 ‘거래 절벽’… 공인중개사도 멘붕

정부
사진 = 연합뉴스

토지거래허가제 확대 시행 첫날인 24일, 강남권 부동산가엔 정적이 감돌았다.

잠실동의 B 공인중개사는 “갭투자 하려던 사람들, 혹은 급매로 팔려던 사람들은 규제 발표 전 이미 계약을 마쳤다. 오늘부터는 거래가 사실상 끊겼다”고 했다.

이처럼 급속히 위축된 시장 반응은 이번 조치의 강도에서 비롯됐다.

정부는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며 총 40만 가구, 2천200개 아파트 단지를 규제 대상에 포함시켰다.

정부
사진 = 연합뉴스

해당 지역에서 면적 6㎡ 이상 아파트를 거래하려면 관할 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매수인은 2년 이상 실거주해야 한다.

또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는 원천 차단됐고, 실수요자 위주의 매입만 허용됐다.

강남구 역삼동의 C 공인중개사도 “매도자는 가격을 유지하려 하고, 매수자는 규제로 더 떨어질 것 같다고 보고 있다. 서로 조건이 맞지 않아 계약이 아예 끊겼다”고 전했다.

서초구 반포동의 D 중개업소는 “지난주 일부 급매가 성사됐지만 오늘은 문의조차 없다. 공인중개사도 피해자”라고 했다.

갭투자 막자 주변 지역 ‘풍선효과’… 집값 들썩

정부
사진 = 연합뉴스

강남권과 용산구가 묶이자 규제를 피한 인접 지역에선 벌써 기대 심리가 퍼지고 있다.

성동구, 마포구, 과천시 등지에서는 ‘풍선효과’ 조짐이 감지된다.

성동구의 E 공인중개사는 “18억 원에 내놨던 집을 일주일 만에 1억 원 올렸다. 일단 가격부터 움직이는 분위기”라고 했다.

마포구 F 중개사도 “집주인들이 풍선효과를 기대하며 매물을 거둬들였다. 손님은 없는데 문의는 많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정부
사진 = 연합뉴스

과천시의 G 부동산 중개사는 “갭투자 수요가 이쪽으로 이동할 거라는 기대에 호가가 오르긴 했다. 하지만 강남을 대체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회의적”이라고 했다.

전문가들도 투자 수요의 외곽 이동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은 “이번 규제로 인해 마포구, 성동구, 강동구로의 수요 이동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이런 현상이 단기적인 거래 위축과 맞물려 또 다른 시장 왜곡을 부를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효과는 단기? 장기적으론 가격 압박 커질 수도

정부
사진 = 연합뉴스

일각에선 이번 조치가 단기적으로는 집값 상승세에 제동을 거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본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과거 사례를 보면 이런 정책이 시행되면 일시적으로 거래가 줄고 가격 상승도 둔화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장기적 효과에 대해선 우려도 적지 않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토지거래허가제는 거래 경직성만 강화해, 실거주 수요는 늘고 매물은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한다. 장기적으로는 오히려 가격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서울시는 이번 조치를 6개월 한시적으로 운영하며, 필요 시 연장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도 마포·성동·강동 등 풍선효과가 뚜렷한 지역에 대해 추가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부동산 시장의 향후 흐름은 당분간 정책 방향과 외부 경제 환경에 좌우될 전망이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한국 경제 이끌었지만” … 베이비붐 세대 비극에 누구도 손 내밀지 않는 ‘이유’

더보기
Roborac

韓 1위 차지하더니 “삼성·LG 전부 삼켰다” .. 中 공세에 업계 ‘속수무책’

더보기
Hanmi Semiconductor

“글로벌 왕좌 오르자마자 ‘8년’ 묵은 폭탄 터진다”… SK 흔들리자 삼성 ‘활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