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화·자율주행 시대, 반도체가 핵심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독립 선언
실리콘밸리에 연구거점 신설, 글로벌 공략

“이제는 반도체도 직접 만든다!”
현대모비스가 자체 설계한 차량용 반도체의 양산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며, 글로벌 자동차 반도체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2020년 현대오트론의 반도체 사업을 인수한 지 5년 만의 성과다. 현대모비스는 전동화, 전장, 램프 등 핵심 부품용 반도체의 연구개발과 신뢰성 검증을 완료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생산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차량용 반도체, 이제 직접 만든다

현대모비스가 이번에 양산하는 반도체는 전기차 전원 제어 기능을 통합한 ‘전원통합칩’과 램프 구동 반도체 등이다.
특히, 전기차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배터리관리집적회로(IC)’는 차세대 제품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차량용 반도체 내재화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고, 완성차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차량 한 대에는 많게는 3000개의 반도체가 들어가며, 전동화와 자율주행 기술 발전에 따라 그 수요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를 위해 현대모비스는 별도의 반도체 사업 조직을 운영하며, 현재 300여 명의 전문 인력을 확보한 상태다.
실리콘밸리에 연구거점…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정조준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 실리콘밸리에 연구 거점을 신설한다.
이곳에서는 해외 우수 인재를 영입하고,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협력해 첨단 차량용 반도체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국내 연구소와의 협업을 강화해, 국내외에 특화된 반도체 설계 기술을 발전시키는 ‘투트랙’ 전략을 펼친다.
전력 반도체 분야에서도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간다. 현대모비스는 기존 실리콘 기반 고전력 반도체(Si-IGBT)뿐만 아니라, 2028년과 2029년에는 실리콘카바이드(SiC) 기반 전력 반도체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자동차 반도체 독립, 현대모비스의 미래는?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4분기 북미 반도체 스타트업 ‘엘리베이션 마이크로시스템즈’에 1500만 달러를 투자했다. 또한, 스웨덴 국립 연구기관 RISE와 협력해 실리콘카바이드 전력 반도체 개발을 진행 중이다.
박철홍 현대모비스 반도체사업담당 전무는 “실리콘밸리 연구거점 신설로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겠다”며 “전동화·전장 부품용 핵심 반도체 개발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율주행과 전동화 시대를 맞아 차량용 반도체는 자동차 산업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현대모비스의 이번 결정이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는 물론,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오작동을 방지하는 반도체를 만들 결심을 환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