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저수지 ESS 본격 확장
2038년까지 40조 원 투입 예고
중국 저가 공세에 긴장 높아져

정부가 ‘전기 저수지’ 역할을 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대규모로 도입하겠다고 발표하며 국내 배터리 시장이 다시금 들썩이고 있다.
ESS는 재생에너지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정부는 2038년까지 총 40조 원 규모의 배터리 ESS 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제 관건은 ‘누가 이 시장의 과실을 거머쥘 것이냐’다. 한국 기업이냐, 아니면 중국 기업이냐.
탄소중립 전환 속, 전력망의 필수 인프라

ESS는 발전량이 들쭉날쭉한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핵심 장치다. 봄가을처럼 수요는 적지만 발전량은 넘치거나 여름밤처럼 수요가 크지만 발전이 어려운 시기에도 전력을 충·방전해 균형을 맞춘다.
정부는 최근 540MW 규모의 ESS 구축 사업을 입찰 공고했으며 관련 투자만도 1조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국내 전력망에 ESS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첫 사례다.
특히 2038년까지 23GW 수준의 ESS 용량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이 확정되면서, 향후 ESS 설비에만 약 40조 원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ESS 점유율 90%…K-배터리의 시험대

그러나 이 시장엔 이미 막강한 경쟁자가 버티고 있다. 전 세계 ESS 시장은 이미 중국이 90% 가까이 점유하고 있으며 CATL과 BYD 같은 중국 기업들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로 가격과 안전성 모두에서 강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CATL은 한국에 법인을 세우고 ESS 및 전기차 배터리 사업 확대를 선언하며 존재감을 키우는 중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ESS 시장도 태양광처럼 중국산으로 뒤덮이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있다”고 전했다.
이에 정부는 ESS 사업자 선정 시 가격 외에 국내 산업 기여도, 고용 효과, 부품 조달 원산지까지 평가에 반영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재활용 가치가 높은 삼원계 배터리를 활용한 기술에도 가점을 부여해 국내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LFP부터 차세대 기술까지…국내 3사의 반격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K-배터리 3사’는 반격을 준비 중이다. LG는 ESS용 LFP 배터리 양산을 시작했고 나트륨이온이나 LFMP 같은 차세대 저가형 기술도 개발 중이다.
그간 프리미엄 전략에 집중했던 이들 기업은 가격 경쟁력 확보로 방향을 선회하며 미국·유럽 시장의 ‘탈중국’ 흐름에 발맞춰 현지 생산과 공급망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나 시스템 통합 기술을 활용해 중국산 제품과의 차별화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서울과학기술대 유승훈 교수는 “변동성 높은 재생에너지 시대에 ESS는 필수 인프라”라며 “국내 기업 배터리를 사용하는 유인책을 마련하고 이를 정교하게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는 국힘.민주 .노조와 개싸움에 말려 항상 뒷북만 치는 조직. 미래 먹거리는 다 놓쳤다
절대로 중국 놈들에게 주어선 안된다. ㅈ창깨들은 어디 이느 구석에 또 ㅂ밀 송 수신 장치를 설치할지도 모르고 문재인처럼 중국 놈들에게 아부해도 혼밥 신세짓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