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잡으려다 완전히 망했다”… 정부 규제에도 대박 터진 ‘이 동네’

토지거래허가제에도 집값 고공행진
강남·양천선 재건축 기대감에 불붙어
대출 규제 앞둔 강북, 막판 매수 몰려
강남
사진 = 연합뉴스

정부가 집값 안정화를 노리고 칼을 빼 들었지만, 결과는 정반대였다.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을 확대 지정하며 규제를 강화했지만, 서울 일부 지역에선 이 조치가 되레 호재로 작용했다.

대표적인 곳이 강남과 양천으로, 이 지역에선 신축 아파트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되레 급등했다.

서울 전역의 평균 매매가격은 떨어졌지만, 강남구는 2개월 만에 평균 거래가가 무려 60% 넘게 오르며 정반대 흐름을 보였다.

‘얼죽신’ 신드롬과 재건축 기대감이 불붙인 강남

강남
사진 = 연합뉴스

직방의 데이터에 따르면, 토허구역이 재지정된 지난 3월 24일부터 5월 1일까지 강남구의 평균 아파트 매매가는 43억 817만 원을 기록했다.

이는 불과 2개월 전보다 61.9% 상승한 수치로, 양천구 역시 14억 2275만 원으로 7.8% 상승했다.

이 같은 현상은 ‘얼죽신’(얼어 죽어도 신축) 열풍과 맞물려 고가 신축 아파트 가격이 치솟자,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재건축 단지로 수요가 몰리면서 생겨났다.

여기에 대선 후보들의 재건축 부담금 완화 공약도 기대감을 부추겼다.

직방 빅데이터랩 김은선 랩장은 “압구정이나 목동, 여의도 같은 고가 재건축 단지에서 사업 추진 가능성과 희소성이 주목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신축이 너무 오르니 재건축 단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보인다”며 “서울 안에 남은 땅은 재건축 단지뿐이라는 인식도 퍼졌다”고 덧붙였다.

강북은 ‘막차 타기’ 매수세…대출 규제 전에 계약 몰려

강남
사진 = 연합뉴스

강남과 달리 거래가 주춤했던 강북 지역에도 최근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오는 7월부터 시행될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를 앞두고, 대출이 어려워지기 전에 집을 사두려는 수요자들이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노원구 상계동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지난주부터 싼 매물을 중심으로 거래가 늘었다. 당장 집값이 오른다기보다는 대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마포구에서는 이미 신고가 거래가 속속 나오고 있다.

강남
사진 = 연합뉴스

마포 염리동의 ‘마포프레스티지자이’는 전용면적 84.9㎡가 이달 16일 23억9500만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경신했고, 아현동 일대도 20억 원대를 넘는 거래가 줄을 잇고 있다.

대출에 민감한 도봉구와 노원구에서도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는 인식이 퍼지면서, 이달 초 하락세를 보이던 집값이 중순 이후 보합세로 전환됐다.

실제로 중개업소에선 “6월 중으로 서류만 제출하면 되니 미리 계약하고 대출을 맞춰놓고 싶다”는 수요자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재건축 지구는 역대 최고가, 규제는 또다른 변수

강남
사진 = 연합뉴스

강남 재건축 단지들은 신고가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압구정 현대아파트 7차는 전용면적 245.2㎡가 지난달 130억5000만원에 거래돼, 압구정 일대 최고가 기록을 경신했다.

송파구 잠실의 리센츠도 토허제 확대 이후 거래가 주춤했지만, 최근 30억원을 다시 넘어섰다.

잠실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33억원까지 갔던 시세에 비하면 아직 회복 중이지만, 매수세가 다시 붙고 있다”고 말했다.

강남
사진 = 연합뉴스

이처럼 ‘역효과’가 뚜렷한 가운데, 정부는 추가 규제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서울시와 국토부는 집값이 더 오를 경우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을 확대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오히려 이런 예고가 매수세를 더 자극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고덕동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지금은 대출 규제, 금리 인하 기대, 대선 변수까지 맞물려 단기 거래가 몰리는 시기”라며 “7월 이후엔 정책 불확실성으로 한동안 시장이 조용해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4

관심 집중 콘텐츠

Semiconductor

삼성전자 2분기 ‘어닝쇼크’ 수준 실적, 대표 먹거리 “우물쭈물하다간 일본에 홀라당 뺏긴다”

더보기
Card Fee

12조 쏟아부었는데 “쓰면 쓸수록 적자라니”… 소비쿠폰의 비밀 드러나자 정부도 ‘어쩌나’

더보기
Solar Power

“한국 덕분에 세상이 밝아졌어요”… 과하나섬, 148억 태양광 마이크로그리드가 만든 ‘새로운 세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