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이전 추진에 부산 들썩
북극항로·인프라 확장 기대 커져
공간 부족은 현실적 과제로 남아

이전이냐, 철회냐를 두고 오랜 시간 논쟁의 중심에 섰던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마침내 본격적인 궤도에 올라섰다.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올해 안에 이전을 완료하라”고 강력히 지시하면서, 지역 사회는 해양수도 도약에 대한 기대감으로 들썩이고 있다.
해양 컨트롤타워 부산행…‘해양수도’ 도약 신호탄

지난 24일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강도형 해수부 장관에게 연내 부산 이전 계획을 수립하라고 직접 지시했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전 부지가 없다면 임대해서라도 옮기라는 지시가 있었다”며, 연내 이전을 반드시 완료하겠다는 대통령의 의지를 전했다.
이와 함께 부산을 북극항로 시대의 중심 항만으로 육성하겠다는 방향도 제시되면서, 해수부는 TF를 꾸려 관련 정책과 실행 과제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부산항이 북극항로의 거점이 된다면, 물동량 확보는 물론이고 관련 산업 전반의 도약도 예상된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자 역시 “북극항로를 선제적으로 준비하겠다”며 해양 산업 외연 확장을 강조했다.

부산은 세계 2위의 환적항과 국내 최대 수산물 도매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산과학원, 해양과학기술원, 국립해양박물관 등 해양 관련 공공기관도 이미 다수 자리 잡고 있다.
해수부까지 더해지면 진정한 해양수도의 면모를 갖출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셋방살이’ 피할 수 없는 현실…부산시도 고심

하지만 기대감만큼이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해수부는 본부 정원 623명을 포함해 900여 명이 넘는 인력을 수용할 공간이 마땅치 않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북항을 이전 적지로 제시했지만, 해당 지역에는 대규모 공공건물이 드문 것이 문제다.
결국 해수부는 부산 전역으로 범위를 넓혀 적절한 임대 건물을 찾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선 부서를 나눠 여러 건물에 나눠 입주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부산항만공사가 새 건물을 짓더라도 정식 입주는 수년 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부산시는 해수부가 협조를 요청하면 공간 확보와 직원 주거 대책 등을 적극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지역 산업·정부 조직 개편 논의도 함께 진행

부산 해운항만업계는 이번 이전을 계기로 ‘해양수도 부산’을 명확히 규정하고 이를 뒷받침할 별도 외청 신설을 제안하고 있다.
송상근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정부 부처가 특정 지역만을 위한 정책을 펴기 어려운 만큼, 별도 조직을 통해 정책 발굴과 추진이 효율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부산 상공계는 해운 대기업 이전과 해사법원 설치 같은 연계 정책도 동시 추진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재수 후보자는 “해수부가 지금 기능 그대로 옮겨가는 게 아니라, 오히려 조선·항만·섬 관련 사무까지 흡수해 위상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세계1등 원전을 버리고, 돈 빼먹기 좋은 태양광을 밀어붙이는 무뇌 죄명이가 강제로 이전하는 해수부 망하게 되어있다.전과4범이 할수있는 것은 거짓말뿐이다
진정한 무뇌충은 무조건 2찍하는 아래 익명 같은 충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