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이율 2%로 뚝 떨어졌는데 “20% 드립니다”… 수십만 명 몰리자 드러난 ‘반전’

“고금리 적금 가입했더니 받은 이자는 고작 2천원?”
금융사들의 미끼 상품에 소비자들 ‘허탈’
은행
사진 = 연합뉴스

“이제 은행에 돈 맡겨봤자 남는 게 없다.”

기준금리 인하로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예금 금리가 2%대로 주저앉으면서, 고객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연 4%대 금리를 제공하던 저축은행 예금 상품은 이제 3%도 넘기 어려운 상황이다.

10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국내 저축은행 79곳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연 3.02%로 집계됐다.

은행
사진 = 연합뉴스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연 4%에 근접했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며 연 2%대로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면 상품이 아니면 3%대 금리를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시중은행 상황은 더 심각하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기예금 금리는 이미 2.90~2.95% 수준으로 낮아졌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 2.75%로 내린 이후 추가 인하 가능성까지 점쳐지면서, 예금 금리 하락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연 20% 적금’에 몰린 수십만 명… 알고 보니

은행
사진 = 연합뉴스

예금 금리가 2%대로 떨어지자 은행들은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고금리 적금’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연 10~20%에 달하는 고이율을 내세운 상품들이 쏟아지면서, 가입자가 몰리는 상황이다.

실제로 최근 OK저축은행이 내놓은 ‘OK작심한달적금’은 연 20.25%의 금리를 제공한다는 소식이 퍼지며 앱 접속 장애까지 발생했다.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고객이 실제 받을 수 있는 이자는 세전 2579원(세후 2189원)에 불과하다.

30일간 매일 최대 1만 원씩 입금하는 구조로, 전체 납입액 대비 실질적인 수익률은 기대보다 낮은 셈이다.

은행
사진 = 연합뉴스

또한 KB국민은행이 이달 초 출시한 ‘KB스타적금 Ⅲ’은 기본 금리 3%에 우대 금리를 포함하면 최대 6%를 제공한다.

하지만 우대 금리를 모두 적용받기 위해선 일정 금액 이상의 급여이체나 카드 실적 충족 등의 조건을 맞춰야 한다.

하나은행의 ‘달달하나적금'(최대 연 7%)이나 우리은행의 ‘우리페이 적금'(최대 연 7%)도 마찬가지다.

최고 금리를 받으려면 카드 사용 실적을 채워야 하거나, 이벤트 참여 등 복잡한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고금리’ 숫자에 속지 말고, 실익 따져야

은행
사진 = 연합뉴스

고금리 적금이 잇달아 등장하면서 금융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표면적인 금리에 현혹되지 않고, 실제 받을 수 있는 이자와 우대 조건 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인터넷은행이 출시한 ‘한 달 적금’ 상품들은 매일 일정 금액을 입금해야 최고 금리를 받을 수 있지만, 결국 한 달 동안 꾸준히 돈을 넣어도 받을 수 있는 이자는 몇천 원 수준에 불과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금리 적금 상품을 가입하기 전에 월 납입한도, 우대금리 조건, 실제 수령 가능한 이자 등을 따져봐야 한다”며 “조건을 채우기 어려운 경우, 실질적으로 낮은 금리를 받게 될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연 10% 대의 높은 금리를 강조하는 상품들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이자 혜택은 기대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금리가 낮아진 상황에서 은행의 마케팅 전략에 현혹되지 않도록, 상품 조건을 꼼꼼히 살피고 실질적인 이익을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Samsung

30년 만에 “한국의 자존심이 무너지나”… 삼중고 닥친 삼성 ‘휘청’

더보기
China

불법 판쳤는데 “이런 기회가 찾아올 줄이야”… ’48조’ 시장 다가오자 ‘웃음꽃’

더보기
Samsung

불황 속에서도 “삼성이 또 해냈다”… 40년 동안 지켜낸 ‘역대급’ 기록에 ‘환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