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높아졌는데 “지갑은 더 가벼워졌다?”… 대한민국 현실에 세계도 ‘깜짝’

“연봉보다 카드값이 더 빨리 늘어난다”
소득 늘어도 가계 경제는 ‘빨간불’
연봉
사진 = 연합뉴스

“요샌 월급날이 기대되지 않아요.”

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 김모 씨(42)는 10년 전보다 연봉은 확실히 올랐지만, 통장에 남는 돈은 오히려 줄었다고 토로했다.

그는 “식비, 공과금, 보험료, 아이 교육비까지 감당하고 나면 다음 달 카드값을 걱정하게 된다”며 “오히려 돈 쓸 일만 늘어난 기분”이라고 말했다.

비단 김 씨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국민소득은 10년 새 18% 가까이 늘었지만, 지출은 그보다 두 배 넘게 증가하면서 체감 소득은 오히려 줄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득보다 지출 증가폭 더 커… “벌어도 남는 게 없다”

연봉
사진 = 연합뉴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4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014년 3만798달러에서 2023년 3만6624달러로 18.9% 증가했다.

반면 1인당 민간소비지출은 같은 기간 1649만4000원에서 2387만원으로 44.7% 급증했다.

문제는 소득 상승폭보다 지출 증가폭이 훨씬 가파르다는 점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그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2019년 1975만2000원이던 1인당 연간 소비지출은 2023년 2315만8000원으로 17.2% 증가했다.

연봉
사진 = 연합뉴스

지난해 원화 기준 1인당 GNI가 약 5000만 원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절반 가까이를 소비로 쓴 셈이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도 289만원으로 전년 대비 9만8000원 늘었다. 주요 지출 항목은 음식·숙박(15.5%), 식료품·비주류 음료(14.3%), 주거·수도·광열(12.2%), 교통(11.6%) 등이다.

40대 가구주의 소비지출이 가장 높았고, 이어 50대, 39세 이하, 60세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한 경제전문가는 “급여는 오르지만 지출 구조가 더 빠르게 팽창하고 있어 체감 소득이 줄고 있다”며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중산층의 소비 여력도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식비 비중 30% 넘는 저소득층… 고물가에 더 취약

연봉
사진 = 연합뉴스

지출 부담이 더 큰 계층은 단연 저소득층이다. 특히 먹거리 물가 상승은 저소득 가구에 더 큰 타격을 주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 2월 한국의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은 6.95%로 OECD 평균(5.32%)보다 높았다.

이는 2021년 11월 이후 2년 3개월 만에 주요국 평균을 다시 넘어선 수치다.

연봉
사진 = 연합뉴스

이처럼 물가 상승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해 2분기 기준 소득 하위 20% 가구의 식비 지출은 월평균 41만원으로, 전체 소비지출(125만2000원)의 32.8%를 차지했다. 1년 전(31.1%)보다 늘어난 수치다.

소득 하위 40% 가구도 식비 비중이 31.8%로 전년보다 상승했다. 반면 중산층 이상 가구는 식비 비중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국은행이 같은 날 발표한 ‘2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에서도 농산물과 수산물 가격이 각각 3.6%, 1.0% 상승하면서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이어지고 있다.

4월에도 줄줄이 인상… 먹거리 값 상승 ‘현재진행형’

연봉
사진 = 연합뉴스

이러한 가운데, 4월에도 주요 식음료 업체들이 제품 가격을 인상하면서 서민들의 부담은 계속될 전망이다.

남양유업은 내달부터 초코에몽, 과수원사과 등 음료 제품 가격을 12~14% 올릴 예정이며, 매일유업은 치즈·두유 등 51개 품목의 가격을 평균 8.9% 인상한다.

빙그레는 ‘따옴오렌지’와 커피 음료 가격을 최대 12.5% 인상했고, 오뚜기도 진라면, 열라면 등 라면류와 즉석식품 가격을 일제히 올렸다.

연봉
사진 = 연합뉴스

아이스크림 브랜드 하겐다즈도 파인트 제품 가격을 1만7900원으로 올리는 등 전반적인 물가 상승 흐름이 멈추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원재료비, 물류비, 인건비 등 복합적인 비용 상승 요인이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인상 기조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중산층 축소와 소비 위축 등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또 “소득은 오르지만 구매력이 줄어드는 이른바 ‘소득 착시 현상’이 확대되고 있다”며 “정부는 실질 소득을 끌어올릴 수 있는 정책과 함께 가계 부담 완화를 위한 물가 안정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