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모든 게 끝났어요”… IMF보다 더한 현실, 무너지는 5060 세대의 ‘절규’

대출도 한계, 폐업도 지옥
절망에 무너지는 5060 자영업자
5060
사진 = 연합뉴스

“하루 매출이 3만 원도 안 됩니다. 전기세 내고 나면 남는 게 없어요. 30년을 장사했는데, 이젠 정말 다 끝났어요.”

서울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던 박모 씨(58)는 지난달 가게 문을 닫았다. IMF 외환위기에도 버텼고, 코로나19 때도 어떻게든 견뎠지만, 이번엔 달랐다.

가게 앞을 지나던 단골들도 하나둘 발길을 끊었다. 오르는 임대료와 인건비, 밀려 있는 대출 이자까지 모든 게 부담이었다.

그러나 폐업도 쉽지 않았는데, 가게를 정리하는 비용만 천만 원 넘게 들었기 때문이다. 박 씨는 “지금 손에 남은 건 1억 상당의 빚뿐”이라고 토로했다.

박 씨처럼 긴 세월을 자영업에 바친 50·60대들이 지금 가장 먼저 무너지고 있다. 대출은 이미 한계에 달했고, 정부 지원책도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

“지금 상황이 IMF 때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목소리가 현장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IMF 때보다 더 힘들다”… 위기의 자영업자

5060
사진 = 연합뉴스

장기화된 내수 부진 속에서 자영업자들의 경영 환경은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19일 발표한 ‘2025 폐업 소상공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폐업한 자영업자의 평균 영업 기간은 6.5년에 불과했다. 창업 3년을 넘기지 못한 비율도 39.9%나 됐다.

폐업 당시 평균 부채는 1억 236만 원, 정리 비용으로는 철거비, 원상복구, 퇴직금 등을 포함해 평균 2188만 원이 필요했다.

가장 큰 폐업 사유는 매출 부진과 수익성 악화로, 전체의 86.7%가 이를 꼽았다.

5060
사진 = 연합뉴스

내수 위축(52.2%), 인건비 상승(49.4%), 원자재값 부담(46%)이 그 배경이었다. 숙박·음식업계는 온라인 광고비나 수수료까지 겹쳐 더 큰 압박을 받고 있었다.

버티려다 빚에 짓눌린 자영업자들은 결국 무너졌다. 지난해 11월 기준,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은 개인사업자는 336만 명에 달했다.

이들이 떠안은 빚은 무려 1125조 원. 이 중 50대와 60대가 각각 366조 원, 371조 원을 차지해 전체의 65%를 넘어섰다.

더욱 우려스러운 건 다중채무자 비중이다.

5060
사진 = 연합뉴스

3곳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은 50·60대 자영업자는 약 48만 명에 이르며, 이들 중 절반 이상이 추가 대출이 어려운 한계 상황에 몰려 있다. 이들의 몰락은 곧장 폐업으로 이어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월 자영업자 수는 약 550만 명으로 IMF 외환위기 시기보다도 줄었다. 두 달 새 20만 명이 자영업 시장에서 사라졌다.

외식업계 체감 경기지수는 코로나19 때 수준으로 추락하며,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은행·정부 나섰지만… 근본적인 변화 시급

5060
사진 = 연합뉴스

이러한 통계에 금융권도 팔을 걷고 나섰다.

시중은행은 오는 4월부터 대출 연체 위기 또는 폐업한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맞춤형 채무 조정에 나설 계획이다. 만기 연장, 금리 감면, 장기분할 상환 대환 등의 조치를 마련했다.

인터넷은행도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비중을 늘리며 자영업자 지원에 동참하고 있다.

케이뱅크는 후순위 담보대출, 카카오뱅크는 1억 원 초과 신용대출을 예고했고, 새롭게 출범할 한국소호은행도 자영업자 대상 대출 확대를 목표로 한다.

하지만 이 같은 지원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은행권은 기준금리 인하에도 가산금리를 높여 부실 대출을 차단했고, 그 사이 자영업자는 더 깊은 수렁에 빠졌다.

5060
사진 = 연합뉴스

지난해 말 기준,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금액은 11조 3000억 원에 달했으며, 그중 80%는 제2금융권 대출이었다.

연체된 채로 폐업한 이들은 평균 6000만 원이 넘는 대출 잔액과 500만 원 이상의 밀린 원리금을 떠안은 채 사업장을 닫았다.

전문가들은 이제 임시방편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자영업의 급속한 붕괴는 복지비용 부담을 키우고 사회 전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며 “폐업한 소상공인들이 제조업 등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책적 유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

관심 집중 콘텐츠

“한국 경제 이끌었지만” … 베이비붐 세대 비극에 누구도 손 내밀지 않는 ‘이유’

더보기
Roborac

韓 1위 차지하더니 “삼성·LG 전부 삼켰다” .. 中 공세에 업계 ‘속수무책’

더보기
Hanmi Semiconductor

“글로벌 왕좌 오르자마자 ‘8년’ 묵은 폭탄 터진다”… SK 흔들리자 삼성 ‘활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