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발 도와줘”… 미국이 목매다는 ’64조’ 프로젝트, 트럼프도 ‘발 동동’

64조 초대형 에너지 프로젝트
한국 향한 미국의 ‘집요한 구애’
트럼프의 압박…한국, 판단은 ‘보류’
알래스카
사진 = 연합뉴스

미국이 64조 원 규모의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한국의 참여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기 행정부가 시작되자마자 이 사업을 빠르게 추진하며, 한국 정부를 향해 공개적으로 참여를 촉구하고 나섰다.

트럼프는 이 프로젝트를 단순한 에너지 개발이 아닌 국가 전략 차원의 핵심 사안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응답을 미루고 있다. 명확한 경제성 자료가 없고, 막대한 투자비에 따른 리스크는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국이 전략적으로 밀어붙이는 이 초대형 에너지 사업에 한국 정부가 과연 언제, 어떻게 응답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가 대체 뭐길래

알래스카
사진 = 연합뉴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미국 알래스카 북부 프루도베이에서 천연가스를 시추해, 1300km 길이의 파이프라인으로 알래스카 남부 니키스키까지 운송한 뒤 이곳에서 액화하여 아시아로 수출하는 사업이다.

주요 수출국으로는 한국, 일본, 대만 등이 거론된다. 총 사업비는 440~450억 달러(약 62~64조 원)로 추산되며, 파트너십 규모는 1,150억 달러(약 158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은 연간 2000만 톤의 LNG 생산을 목표로, 연 매출 100억 달러를 기대하고 있다. 이 사업은 에너지 패권 강화와 알래스카 지역 경제 회복을 동시에 노리고 추진되고 있다.

특히 미국 국방부의 2024년 ‘북극 전략’ 보고서에는 북극권의 인프라를 확충하는 일이 안보 확장과 연계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어, 군사적 의미도 내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은 신중… 경제성·환경 리스크 우려

알래스카
사진 = 연합뉴스

하지만 한국은 미국의 조급함과 달리 한발 물러서서 즉답을 피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가스공사 등 관련 부처와 기업들은 이 사업의 경제성, 리스크, 환경적 부담 등을 따져보며 신중하게 움직이고 있다.

알래스카는 극한의 기후로 인해 1년 중 공사가 가능한 기간이 제한적이고, 천문학적인 건설·운영 비용이 수반된다. 과거 엑손모빌, BP 등 글로벌 메이저 기업들도 이 사업에 투자했다가 철수한 전례가 있다.

정부는 아직 미국 측으로부터 사업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를 받지 못한 상태로, 한국가스공사 관계자는 “최근 회의에서도 새로운 제안서나 사업 계획은 공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4월 양국 실무진은 화상 회의를 열었지만, 사업 참여를 결정할 만한 정보는 부족했다.

미국 연방에너지규제위원회(FERC)는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통해 사업의 환경 리스크가 관리 가능하다고 판단했지만, 여전히 CCS(탄소 포집·저장) 여부에 따라 최대 수천조 원의 환경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전략 동맹 vs 경제 현실…한국의 선택은?

알래스카
사진 = 연합뉴스

알래스카 프로젝트는 단순한 민간 사업을 넘어, 미국과 한국의 전략적 협력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로 여겨지고 있다.

미국은 이 사업을 관세 협상 테이블에 올리며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한국의 결정을 유도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첫 한미 관세 협상에서도 미국 측은 알래스카 LNG를 핵심 안건으로 내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동맹국과의 경제·안보 연계를 강조하면서, 한국의 입장은 더욱 복잡해졌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이 한국의 참여를 바라고 있는 것은 맞지만, 상업성과 기술적 타당성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전제돼야 한다”고 밝혔다.

에너지 공급망, 외교 관계, 환경 문제까지 복합적으로 얽힌 이번 프로젝트에 대해 한국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어마어마한 규모의 초대형 에너지 협력이 한미 관계의 또 다른 시험대로 떠오르고 있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혀 닦기의 중요성

“칫솔로 혀 긁으면 평생 후회합니다” … 잘못된 ‘설태 제거’, 입냄새 악화시키는 진짜 원인

더보기
Samsung

중국에게 내주나 싶었는데 “오히려 신의 한 수였네”… 삼성·SK의 ‘역발상’ 제대로 통했다

더보기
달걀 껍질의 효능

“달걀 껍데기 일반 쓰레기 아닙니다” … 효능, 활용법 알면 절대 못 버리는 ‘천연 보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