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빼앗긴 ‘왕좌’, 한 달 만에 되찾았다” ..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의 ‘비밀 전략’

세계 발주는 줄었는데, 한국은 1위
고부가 선박 집중 전략 통했다
수익성보다 기술력으로 승부
한국
한국 조선업 3월 수주 1위 / 출처 = 연합뉴스

“수주 물량 자체는 줄었는데, 한국은 어떻게 1위를 했지?”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이 1년 새 70% 넘게 감소한 가운데, 한국 조선업계가 수주 점유율 1위 자리를 탈환했다. 단순 물량보다 고부가가치 선박에 집중한 전략이 효과를 본 셈이다.

수주 물량은 줄었지만 ‘질’로 승부

한국
한국 조선업 3월 수주 1위 / 출처 = 연합뉴스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가 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전 세계 선박 수주량은 150만 CGT(표준선 환산 톤수)로 전년 동월보다 71% 줄었다.

하지만 이 중 절반 이상인 82만 CGT(17척)를 한국 조선업계가 수주하며 점유율 55%를 기록했다. 중국은 52만 CGT(31척)로 35%에 그쳤다.

지난 2월까지만 해도 중국이 점유율 65%로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한 달 만에 판도가 바뀐 것이다.

특히 한국이 수주한 선박 한 척당 평균 톤수는 4만 8000CGT로, 중국의 1만 7000CGT보다 2.8배 높았다. 양보다 질을 앞세운 결과다.

올해 1분기 전 세계 누적 선박 수주량은 779만 CGT(234척)로 집계됐다. 이 중 한국은 209만 CGT(40척)를 수주해 점유율 27%를 기록했다. 중국은 380만 CGT(139척)로 49%에 달한다.

한국
한국 조선업 3월 수주 1위 / 출처 = 연합뉴스

양적 수치만 보면 중국의 우세가 여전하지만, 한국은 친환경 선박과 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종에 집중하면서 시장 내 입지를 다지고 있다.

한국 조선업계는 미국 보호무역주의 강화라는 불확실성 속에서도 기술력과 친환경 전략으로 견고한 실적을 냈다.

국내 3대 조선사인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은 올해 1분기 총 80억 4000만 달러 규모의 선박 수주에 성공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21척, 삼성중공업은 12척, 한화오션은 11척을 각각 수주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연간 수주 목표 180억 5000만 달러의 약 19.8%를 이미 채웠으며, 삼성중공업도 목표의 19%를 달성한 상태다.

“친환경 선박, 앞으로 더 중요해진다”

한국
한국 조선업 3월 수주 1위 / 출처 = 연합뉴스

업계에서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흐름에 발맞춰, 친환경 선박에 대한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조선사들은 LNG 운반선, 초대형 컨테이너선, 셔틀탱커 등 고효율 선종을 중심으로 수주 전략을 펼치고 있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미국 중심의 보호무역 흐름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한국 조선사들이 고효율·친환경 기술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유럽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수주 확대를 통해 리스크 분산을 도모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여전히 남은 숙제는 ‘인력’과 ‘원가’

한국
한국 조선업 3월 수주 1위 / 출처 = 연합뉴스

한편 국내 조선업계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인력난과 원가 상승이라는 구조적인 과제에 직면해 있다. 숙련된 인력 확보와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 혁신은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조선업계는 앞으로도 고부가가치 선박에 집중하며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인력난 해소 방안 마련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4

  1. 기업 성장하는건 전국민이 바라는 사항이지만 그 언젠가 민노총으로 인한 고통은 …
    그 해결 없이는 대한민국 기업의 미래는 불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