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흔들리자 “우리 회사까지 파산?”… 섬뜩한 경고에 업계 ‘초비상’

중소업체부터 무너지는 ‘붕괴 도미노’
시멘트·철강까지 덮친 침체의 그림자
건설업
사진 = 연합뉴스

벼랑 끝에서 버티고 있던 건설사들이 하나둘 무너지고 있다. 대형사도 안심할 수 없는 판국에 중소·중견 업체들은 이미 줄줄이 법정관리 수순을 밟고 있다.

건설업계 전반이 흔들리면서 ‘4월 위기설’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금리와 현금 유동성 악화, 쌓여가는 미수금이 겹치며 생존의 문턱을 넘지 못한 업체들이 줄줄이 폐업신고를 하고 있다. 이 여파는 연관 산업으로도 번지고 있다.

중소·중견 건설사 연쇄 붕괴… 폐업 신고 ‘사상 최대’

건설업
사진 = 연합뉴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25일 발표한 ‘3월 건설 브리프’에 따르면 최근 2년 사이 중소 건설사들의 미수금은 4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 대기업은 2배 정도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중소업체들의 자금 압박이 훨씬 심각한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영업이익률도 바닥이다. 이미 2022년부터 마이너스를 기록 중인 중소 건설사는 정상적인 영업만으로는 늘어난 이자 비용조차 감당하기 어려운 구조다.

공식 통계에 잡히지 않는 소규모 업체들의 상황은 이보다 더 열악하다는 것이 현장의 목소리다.

건설업
사진 = 연합뉴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2월 폐업 신고를 한 종합건설업체는 109곳에 달했다. 하루 평균 1.8곳이 사라지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곳이 늘었고, 연간 기준으로는 2005년 이후 최대치였던 641건에 육박할 가능성도 있다.

신동아건설, 삼부토건, 대우조선해양건설 등 시공능력 평가 100위권 내의 중견 건설사들마저 잇따라 법정관리 절차에 들어갔다.

업계에서는 “2022년부터 시작된 하락장이 올해 정점을 찍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시멘트·철강업도 붕괴 조짐… 줄줄이 가동 중단

건설업
사진 = 연합뉴스

건설업 침체의 충격은 제조업으로도 번지고 있다. 가장 먼저 반응한 곳은 시멘트 업계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1~2월 내수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4.8% 급감한 445만 톤에 그쳤다.

이는 최근 5년 중 가장 낮은 수치로, 시멘트업계는 올해 연간 출하량이 사상 처음으로 4000만 톤을 밑돌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1991년 고속성장기에도 4420만 톤을 찍었는데, 지금은 생산능력 6200만 톤 중 4000만 톤도 못 팔고 있다”며 “업계 전체가 쇠퇴기로 접어들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고 토로했다.

생산라인 가동률은 70% 아래로 떨어졌고, 저장고는 시멘트와 클링커 재고로 가득 찼다. 업계는 생산설비를 점차 셧다운하며 ‘버티기’에 들어갔다.

건설업
사진 = 연합뉴스

실제로 35기의 생산라인 중 8기가 멈췄고, 다음달엔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철강업계도 비슷하다. 철근 생산 1위인 현대제철은 다음달 한 달간 인천 공장의 철근 생산을 전면 중단한다. 150만 톤을 생산하던 핵심 생산기지가 멈추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제철은 희망퇴직 접수를 시작했고, 철근 유통가격은 손익분기점을 밑돌고 있다.

국내 철근 수요는 2021년 대비 30%가량 줄어든 상태다. 동국제강, 대한제강, 한국특강 등도 생산과 출하를 중단하거나 감산에 나섰다.

“중소 건설업체 무너지면 산업 뿌리째 흔들”

건설업
사진 = 연합뉴스

건설업 위기의 본질은 단순한 경기침체를 넘어, 산업 기반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지방 중소 건설사의 몰락은 지역경제 전반의 붕괴로 직결될 수 있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초 역량이 부족한 기업에 무차별 지원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면서도 “기술력 있고 지역 기여도가 높은 중소기업까지 외면한다면 대기업은 물론 국가 차원에서도 건설산업 경쟁력을 잃게 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정책 지원이 대형사 위주로 흘러가면서, 실질적인 도움이 절실한 중소업체는 상대적으로 소외된 상태다.

건설업
사진 = 연합뉴스

PF(프로젝트파이낸싱) 중심의 지원도 우량 사업장에만 쏠려 있어 대다수 업체는 혜택을 받지 못한다.

김 연구위원은 “단순한 경기 부양을 넘어 중소업체들이 기술을 개발하고 지역 건설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을 설계해야 한다”며 “중소기업 참여를 의무화한 공공 프로젝트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대로 건설업 위기가 장기화될 경우, 산업 전반의 기반이 무너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를 막기 위해 정부 차원의 구조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9

  1. 수요가 다 차서 공급이 안되고 중국의 과도한 물량이 미국으로 못가니 한국으로 오니 더욱 어려워진다

  2. 국회. 🐕 시키들 🐕 밥그릇 싸움그만하고 민생좀 챙켜라 🐕 시키들아

관심 집중 콘텐츠

Semiconductor

삼성전자 2분기 ‘어닝쇼크’ 수준 실적, 대표 먹거리 “우물쭈물하다간 일본에 홀라당 뺏긴다”

더보기
Card Fee

12조 쏟아부었는데 “쓰면 쓸수록 적자라니”… 소비쿠폰의 비밀 드러나자 정부도 ‘어쩌나’

더보기
Solar Power

“한국 덕분에 세상이 밝아졌어요”… 과하나섬, 148억 태양광 마이크로그리드가 만든 ‘새로운 세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