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대형 원전 해체 승인
전 세계 원전 해체 경험 4개국뿐
12년 대장정, 2037년 마무리 목표

국내 최초 상업용 원자력발전소 ‘고리 1호기’가 마침내 해체 승인을 받으며, 한국은 세계적으로 부각되는 원전 해체라는 블루오션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게 됐다.
26일 서울 중구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제216회 전체회의를 열고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제출한 ‘고리 1호기 해체 계획서’를 심의·의결했다.
이로써 고리 1호기는 영구 정지 8년 만에 본격적인 해체 절차에 돌입하게 됐다.
2037년까지 1조 투입…12년 해체 계획

한수원은 이번 승인에 따라 1조 713억 원의 예산을 들여 향후 12년간 단계적 해체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우선 내년부터는 터빈 건물, 복수탈염 설비 등 비방사선 구역의 설비 해체에 착수한다.
사용후핵연료는 2031년까지 반출한 뒤, 방사성 계통 철거 및 폐기물 처리 과정을 거쳐 2037년 해체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최종 부지는 연간 방사선 피폭선량이 기준치의 10분의 1 수준인 0.1밀리시버트 이하로 낮춰져야 원자력안전법의 규제를 벗을 수 있다.
세계 500조 원 시장…해체 기술 본격 수출

이번 고리 1호기 해체 승인은 한국이 ‘원전 전주기 기술’을 확보한 국가로 도약하는 분기점이 됐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2050년까지 전 세계 588기의 원전이 영구 정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까지 해체를 완료한 국가는 미국, 독일, 일본, 스위스 등 4곳에 불과하며, 이 가운데 상업용 대형 원전을 해체한 경험이 있는 나라는 미국뿐이다.
한수원은 영국, 프랑스, 캐나다, 슬로바키아 등의 원전 해체 전문기관과 협력하며 국제 해체 기술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정부는 96개 해체 기술을 확보한 상태이며, 월성 1호기 해체 심사도 이르면 내년 말 결정될 전망이다.
“국민과 지역사회 신뢰로 해체 진행”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이번 해체 사업은 단순한 철거가 아닌 원전 해체 생태계 조성의 출발점”이라며 “사업 전 과정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지역 사회와의 신뢰를 기반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해체 과정 전반에 대한 실시간 점검과 반기별 보고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해체 추진 중 계획 변경이 필요한 경우 승인을 재심사하는 절차도 병행할 계획이다.
한수원이 이번 고리 1호기 해체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 한국은 전 세계 500조 원 규모의 원전 해체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춘 주역으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좌파 빨간것들이 더 사용할수있는데 영화한편보고 해체를 선택한거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