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노후자금이 몽땅 사라진다고?” … ‘295억’ 증발, 청천벽력 같은 소식에 국민들 ‘발칵’

국민연금 보통주 전액 손실 위기
2조5천억 소각에 연금 자금도 날아가
법적 대응 TF까지 꾸린 국민연금
노후자금
출처 = 뉴스1

무려 295억 원, 국민의 소중한 노후자금이 단숨에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홈플러스의 소유주 MBK파트너스가 기업 회생을 위해 보유 지분 2조5천억 원을 포기하겠다고 나선 가운데, 간접 투자한 국민연금의 보통주 역시 흔적도 없이 사라질 가능성이 커졌다.

MBK의 ‘보통주 소각’ 선언…연금도 증발

노후자금
출처 = 연합뉴스

지난 13일, MBK파트너스는 법정관리를 진행 중인 홈플러스를 새로운 인수자에게 넘기는 과정에서 기존 보통주 전량을 무상 소각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회생 계획 인가 전 인수합병(M&A)’ 방식에 따른 조치로, 신주를 발행해 인수자가 이를 매입하는 방식이며 기존 지분은 모두 사라진다.

이 때문에 MBK를 통해 홈플러스 보통주에 투자했던 국민연금의 295억 원도 전혀 회수할 수 없게 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한창민 사회민주당 의원이 국민연금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보통주를 매입한 방식은 블라인드 펀드를 통해 이뤄졌으며, MBK의 소각 결정에 따라 자동으로 증발하게 된다.

총 6천억 투자했지만, 회수는 절반

노후자금
출처 = 연합뉴스

국민연금이 홈플러스에 투자한 금액은 201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국민연금은 MBK의 인수에 참여하며 프로젝트 펀드를 통해 상환전환우선주(RCPS) 5826억 원, 보통주 295억 원 등 총 6121억 원을 투입했다.

이 중 RCPS에 대해서는 원금 942억 원과 이익금 2189억 원 등 약 3131억 원을 회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연금 측은 해당 RCPS의 회수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 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인수인과의 협상을 통해 일부 조건 변경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사모펀드 손실 논란에 TF 구성…법적 대응 나선 국민연금

노후자금
출처 = 연합뉴스

이 같은 손실 우려에 국민연금은 사태 대응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대형 법무법인을 자문 기관으로 선임했다.

지난 3월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관계자는 “기금과 관련된 중대한 이슈 발생 시 TF를 구성해 대응해왔다”며, 이번 홈플러스 건도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창민 의원은 “국민연금이 사모펀드에 무분별하게 투자한 결과가 국민 노후자금의 손실로 이어졌다”며, “앞으로는 국민연금의 사모펀드 투자를 제한하는 법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

관심 집중 콘텐츠

Solar Power

“한국 덕분에 세상이 밝아졌어요”… 과하나섬, 148억 태양광 마이크로그리드가 만든 ‘새로운 세상’

더보기
Koryoin

전 국민 25만 원 준다더니 “우리는 한푼도 못 받는대요”… 숨겨진 조건에 ‘아수라장’, 혹시 나도?

더보기
POSCO

견고했던 유럽의 벽 “K-기술 한방에 와르르”… 세계 1위 기업 사로잡은 한국산에 ‘극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