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마저 “등골 오싹하다” … ’58조’ 황금알 앞에 한국 기업들 ‘초긴장’

전기차 미래 쥐락펴락할 전고체 배터리
중국이 먼저 속도 내자 삼성SDI는 결의 다져
기술격차 지켜낼 수 있을지 업계 긴장
삼성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 출처 = 연합뉴스

스펙만 보면 판타지에 가깝다. 5분 충전에 3000km, 12분 만에 80% 충전. 중국의 전기차 기업들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의 성능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을 흔들고 있다.

그동안 일본이 주도해오던 전고체 기술 개발에 이제는 중국이 파죽지세로 뛰어들었고, 한국은 속도전과 기술전이라는 이중 전선에 직면했다.

중국의 속도전, 기술전까지 넘본다

삼성
실 / 출처 = BYD

미국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이 7월 1일 전한 바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 제조사 비야디(BYD)는 최근 세단 ‘실(Seal)’ 모델에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해 주행 테스트를 시작했다.

1회 충전으로 무려 1875km를 달릴 수 있고, 12분이면 80%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였다. 에너지 밀도는 400Wh/kg 수준으로, BYD는 2027년부터 이 배터리를 실 모델에 본격 적용한 뒤, 2030년부터는 대량 생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화웨이도 가만있지 않았다. 황화물 기반의 전고체 배터리 기술 특허를 최근 출원하며 전기차 배터리 분야 진입을 알렸다.

화웨이는 이 배터리가 5분 충전으로 3000km 주행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직 검증이 필요하지만, 선언만으로도 업계의 시선은 집중됐다.

이처럼 중국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거대한 내수 시장, 풍부한 R&D 인력을 바탕으로 기술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는 2030년 400억 달러(약 58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 배터리 3사의 응전…속도는 삼성SDI가 앞서

삼성
삼성SDI 전고체 배터리 / 출처 = 뉴스1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있어 국내 기업들 역시 발 빠르게 대응 중이다. 삼성SDI는 지난해 경기도 기흥에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구축했으며, 국내 3사 중 가장 빠른 2027년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안으로 파일럿 라인을 마련하고, 2030년 양산을 내다보고 있다. SK온은 고분자 산화물 복합계와 황화물계 등 2가지 유형의 전고체 배터리를 병행 개발 중이다. 각각 2028년,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삼았다.

특히 SK온은 국내 대학과의 협업을 통해 수명과 경화시간 등 배터리 내구성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다.

위기 속에서 빛나는 실력

삼성
삼성SDI / 출처 = 연합뉴스

삼성SDI 최주선 사장은 지난달 말 용인 본사에서 열린 창립 55주년 기념식에서 “요즘 밤잠을 설치기도 한다”며 현 상황의 무게감을 토로했다.

그는 “지금처럼 어려울 때일수록 실력이 드러나는 법”이라며, 임직원들에게 “상상 그 이상의 미래를 만들자”고 독려했다.

중국의 추격이 위협적으로 다가오는 가운데, 미국 내 전기차 수요 둔화와 한국 내 정부 지원 미비까지 겹치며 국내 업계의 부담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기술력과 품질, 신뢰라는 무기는 여전히 한국 기업들의 손에 있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

  1. 삼성에 가서 직접 취재 한거 맞음??중국은 허풍이 문화라 저걸 다 그대로 믿는다고?

  2. 아직도 국뽕. 언제까지 중국 무시할건데? 유물안 개구리들. 무지하기 짝이 없도다.

관심 집중 콘텐츠

냉방병과 코로나의 차이

“에어컨 때문인 줄 알았다가 큰일 날 뻔했다” … 여름철 ‘냉방병 vs 코로나’ 구별하는 법

더보기
Defender Octa Black

“벤츠 G바겐이 독보적인 줄 알았지” … 역사상 최강 성능에 새 단장 마친 신형 SUV

더보기
눅눅해진 김 바삭하게 만드는 법

“눅눅한 김 버리지 마세요” … 집에서 단 30초면 바삭하게, ‘마지막 포인트’가 생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