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 문제로 출고 지연
신차 효과 반감 우려 커져

BYD의 첫 국내 출시 전기차 ‘아토3’의 출고가 차질을 빚고 있다. 당초 2월 출고가 예정됐지만, 보조금 산정 절차가 늦어지면서 최소 3월 중순 이후로 밀릴 전망이다.
BYD코리아는 지난 1월 16일 브랜드 출범과 함께 아토3의 사전 계약을 시작했다.
그러나 환경부의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 차량 정보를 등록하고, 환경친화적 자동차 신고 및 보조금 평가 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일정이 지연됐다.
업계에 따르면 BYD는 지난달 28일에야 기초 정보를 제출했다. 현재 환경부가 보조금 지급 여부를 검토 중이지만, 아직 확정된 바 없다.
SOC 기능 누락, 보조금 지급 불확실

출고 지연에는 또 다른 변수도 작용하고 있다. 올해부터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 지급 요건을 강화하면서, 차량에 배터리 충전량 정보(SOC) 기능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기준이 생겼다.
그런데 아토3에는 이 기능이 기본 사양으로 탑재되지 않았다. BYD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1년 이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SOC 기능을 추가하겠다는 확약서를 환경부에 제출한 상태다.
하지만 정부가 이를 인정할지는 불투명하다. 만약 환경부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아토3는 보조금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보조금이 없을 경우 차량 가격이 예상보다 크게 오를 수 있다. 현재 보조금이 적용될 경우 아토3의 가격은 2,000만 원대 후반으로 예상되지만, 보조금을 받지 못하면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신차 효과 사라질까… 한국 시장 안착이 관건

아토3는 출시 초반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하지만 출고가 계속 늦어지면서 소비자들의 기대감이 낮아지고, 신차 효과도 반감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BYD가 한국 시장 진입을 다소 성급하게 추진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은 한국 시장을 공략하려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보조금 요건을 충분히 검토하지 않은 채 출시를 강행하면서 결국 일정에 차질이 생겼다는 지적이다.
출고 지연이 길어질 경우 브랜드 신뢰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보조금 지급 여부가 확정되지 않으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이는 BYD의 한국 시장 안착에도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달걸려 빨라야 4월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