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분 충전으로 400km 주행 가능
내연기관 시대 끝낼 기술 등장?
BYD, 전기차 충전 속도 혁신 선언

“전기차 충전이 이렇게 빨라진다고?”
중국 전기차 업계 1위 BYD가 단 5분 충전으로 400km를 달릴 수 있는 초고속 충전 시스템을 공개하며 시장을 뒤흔들었다.
17일(현지시간) BYD는 중국 선전 본사에서 열린 발표회를 통해 ‘슈퍼 e-플랫폼’을 선보였다. 왕촨푸 BYD 회장은 “전기차 충전을 주유만큼 빠르게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업계는 이 기술이 전기차 최대 단점이던 충전 속도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하며, 전통적인 내연기관 차량의 입지를 한층 더 좁힐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기존 충전 기술 압도

BYD가 발표한 초고속 충전 기술은 세계 최초로 양산형 전기차에 1000V 고전압과 1000kW 충전 전력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현재 상용화된 충전 시스템 중 가장 강력한 수준이다.
기존 전기차 충전 속도와 비교하면 차이가 확연하다. 테슬라의 슈퍼차저는 15분 충전 시 최대 275km, 메르세데스-벤츠 최신 CLA 전기 세단은 10분 충전으로 325km 주행이 가능하다.
반면 BYD의 신기술은 5분 만에 400km를 주행할 수 있어 기존 시스템을 압도한다.
이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충전 속도가 느려 장거리 운전에 부담을 느꼈던 소비자들의 불만을 해소하고, 전기차 보급률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다.
초고속 충전 인프라 구축… “충전소도 사라질까?”

BYD는 새로운 충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모델 ‘한L’ 세단과 ‘탕L’ SUV도 출시하며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들 차량은 각각 5400만 원, 5500만 원에 예약 판매를 시작했으며, BYD는 중국 전역에 4000곳 이상의 초고속 충전소를 구축할 계획이다.
한편, 전문가들은 BYD의 신기술이 기존 주유소 및 충전 인프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충전 속도가 내연기관 차량의 주유 시간과 동일해진다면, 전통적인 주유소 운영 방식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미국 경제 매체 악시오스는 전기차 충전 스타트업 창업자 매트 테스케의 분석을 인용해 “BYD의 신기술이 테슬라의 충전 인프라 우위를 위협하고 있으며, 기존 업체들의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BYD는 이 기술을 통해 테슬라, 폭스바겐, 현대·기아 등 글로벌 전기차 강자들과의 격차를 크게 줄이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BYD가 구체적인 배터리 스펙을 공개하지 않은 만큼, 신기술의 실효성과 신뢰성에 대한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과연 BYD의 신기술이 기존 전기차 업체들을 위협하는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인지, 그리고 업계 경쟁자들이 어떤 대응 전략을 내놓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