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 플랫폼 기반 다목적 전기차
비즈니스와 레저 모두 아우른다
교통약자 위한 전용 차량도 선봬

기아가 야심 차게 선보인 전기차 ‘PV5’를 향한 반응이 심상치 않다. 6월 10일부터 본격적인 계약에 돌입한 이 차량은, 기아가 제시하는 미래 모빌리티의 본격적인 서막이기도 하다.
단순한 차량을 넘어선 새로운 플랫폼, PV5는 공간 활용의 패러다임을 뒤바꾸며 전기차 시장에 강렬한 발자국을 남기고 있다.
이 차량은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일상과 비즈니스, 레저와 돌봄까지 포괄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플랫폼 기반 구조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은 향후 모빌리티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목적 플랫폼의 등장…하나의 차, 무한한 가능성

기아 PV5는 브랜드 최초의 전용 전기 PBV(Purpose Built Vehicle)로, ‘E-GMP.S’ 플랫폼을 바탕으로 개발됐다.
이 플랫폼은 기존 전기차 플랫폼인 E-GMP를 발전시켜 모빌리티 서비스부터 물류, 레저까지 다양한 수요를 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췄다.
첫 출시 라인업은 ‘패신저(5인승, 2-3-0 시트 배치)’와 ‘카고(롱)’ 두 가지다. 패신저 모델은 여유로운 실내 공간과 유연한 시트 조합, 낮은 승하차 구조로 레저와 일상을 아우른다. 2열은 리클라이닝과 폴드&다이브 기능으로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트렁크 용량도 1,330ℓ에서 최대 2,310ℓ까지 확장된다.
카고 모델은 상용 목적에 최적화됐다. 최대 4,420ℓ의 적재공간, 419mm의 낮은 적재고, 표준 팔레트 적재가 가능한 넓은 입구 등 화물 운송을 고려한 설계가 눈에 띈다. 롱레인지와 스탠다드 모델로 운영되며, 주행 가능 거리는 각각 377km, 280km다.
교통약자 탑승도 가능…유니버설 디자인 차량 첫 선

뿐만 아니라 기아는 교통약자를 위한 전동화 모빌리티 확산에도 적극 나섰다. PV5 기반의 휠체어용 차량 ‘PV5 WAV’는 국내 최초로 일반 승객과 휠체어 사용자가 함께 탑승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채택했다.
저상화된 플로어와 775mm에 달하는 슬라이딩 도어 개방폭, B필러 어시스트 핸들 등은 휠체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하며, 보호자가 3열에 동승해 보조할 수 있는 구조까지 갖췄다. 넉넉한 실내 공간은 전동 휠체어의 회전과 이동도 수월하게 만든다.
PV5 WAV는 외부 개조 없이 기아의 전용 PBV 공장에서 생산되며, 공식 서비스망을 통한 정비도 가능해 소비자의 편의성도 높였다.

오는 4분기 국내 출시를 앞두고 있으며, 최근에는 박람회를 통해 장애인 단체와 직접 소통하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기아는 영국 ‘모타빌리티’와의 협업을 통해 유럽 시장에도 교통약자용 PV5 보급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기아 관계자는 “PV5 WAV가 교통약자들의 이동권 향상과 편의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자신한다”며, 해당 차량이 새로운 모빌리티 표준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기술과 서비스, 그리고 고객 경험까지 확장

PV5는 단순히 공간이나 성능만 뛰어난 것이 아니다. 차량 내에는 12.9인치 디스플레이와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기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앱 마켓 기능까지 탑재돼 디지털 경험을 강화했다. 운전자는 내비게이션과 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차량 상태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한 ‘플레오스 플릿’ 솔루션도 최초로 적용됐다.
운전자와 사용자를 위한 맞춤형 액세서리, 모듈형 부품 장착을 위한 ‘기아 애드기어’도 함께 제공된다. 이 밖에도 회생제동 기능, 저소음 설계, 7 에어백 및 ADAS 등 안전사양이 기본 탑재됐다.
판매가는 전기차 세제 혜택 전 기준으로 패신저 베이직 4,709만 원, 카고 롱레인지 베이직 4,470만 원부터 시작하며, 보조금 적용 시 지역에 따라 2천만 원대 후반부터 구매 가능하다.

“PV5는 고객의 삶을 담는 새로운 플랫폼이다” 정원정 기아 국내사업본부장은 이 차량을 이렇게 설명했다.
기아는 이번 PV5 출시를 시작으로 다양한 특장형 컨버전 모델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하나의 공간, 무한한 라이프’를 콘셉트로 내세운 기아는 더 이상 자동차를 단순한 운송 수단이 아닌, 생활의 일부로 정의하고 있다.
캠핑카 버젼도 빨리 출시하자
그리고 1회충전 사용거리는 500km 이상되야 경쟁력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