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관광객 몰리며 지역경제 활기인데
주민들 “오히려 안 좋아”… 무슨 일?

인천 연안에서 섬으로 향하는 여객선이 ‘매진 대란’을 겪고 있다.
1천500원이라는 파격적인 운임으로 관광객이 몰리면서, 정작 섬 주민들은 배를 구경도 못 한다는 하소연이 이어지고 있다.
‘인천 아이(i) 바다패스’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이 정책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는 동시에, 예상치 못한 혼란을 일으키고 있다.
‘1500원’의 기적… 섬 관광객 급증

인천시가 올해 초 도입한 ‘인천 아이(i) 바다패스’는 시민들이 연안 여객선을 대중교통 요금 수준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정책이다.
요금은 인천시민 기준 단돈 1천500원으로, 타 지역민도 최대 70%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어 새로운 관광 수단으로 떠올랐다.
그 결과는 놀라웠다. 올해 1분기(1~3월) 인천시민 여객선 이용자는 8만6천266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으며, 타 지역민 이용객은 무려 44.8%(7천533명)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예매 사이트에는 ‘전 좌석 매진’ 표시가 이어지고, 특히 백령도와 같은 인기 섬은 주말마다 일찌감치 자리가 동난다.
이용객 수가 늘어나자 섬 지역 상인들의 얼굴에도 미소가 번졌다.
백령도에서 식당을 운영 중인 70대 업주는 “이전에는 단체 관광객만 겨우 찾아왔는데, 요즘엔 개별 관광객도 많이 들른다”며 매출이 확연히 늘었다고 반겼다.
“병원 예약도 못해요”… 주민 불편 심화

그러나 관광객 증가의 그늘도 짙어졌는데, 여객선 표가 매진되면서 정작 주민들이 제때 섬을 나가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백령도에 거주 중인 한 50대 주민은 “특히 주말이나 기상이 안 좋았던 다음 날이면 온라인 예매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토로했다. 그는 “예매를 확신할 수 없어 병원 예약도 망설여진다”며 불편함을 호소했다.
최근 주말 기준으로 백령도행 여객선은 오전 8시 30분 출항편이 일찌감치 매진되었으며, 31일 운항편도 일반석은 이미 매진돼 일부 일등석만 남아 있는 상태다.
또한 섬 인프라 문제도 드러났는데, 관광객이 몰리자 수돗물이 부족해 흙물이 나오는 사례도 발생하기 시작했다.
이에 주민들은 단순한 운항 좌석 문제가 아니라 전반적인 관광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주민 보호 대책… 인천시가 나섰다

이 같은 문제에 대응해 인천시와 옹진군은 주민 편의를 위한 방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지난 17일부터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 군민 전용 매표창구를 개설해, 주민들이 별도 대기 없이 표를 살 수 있도록 했다.
고려고속훼리도 인천-백령도, 인천-연평도 등 주요 5개 항로에 총 6척의 여객선을 운항하며, 매 항차마다 주민 전용 좌석 60석을 확보해 현장 발권으로 운영 중이다.
선사 관계자는 “5월은 본래 성수기라 예매 경쟁이 치열한 시기”라며 “하지만 주민은 출항 1시간 전만 도착해도 표를 구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옹진군은 향후 다른 선사들과도 협의해 전 항로에 군민 전용 매표창구를 확대하고, 노쇼와 표 취소 증가 여부도 조사할 계획이다.
또한 불법 임산물 채취 등 관광객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부작용도 함께 관리할 방침이다.
‘해양관광 허브’로의 도약 준비

한편 인천시는 이번 바다패스 정책에 그치지 않고, 해양관광 전반을 키우기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다롄시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고, 인천-다롄 크루즈 항로를 유치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인천시 관계자는 “크루즈 관광객 2만 명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연간 약 54억 원의 소비 효과를 기대한다”며 “동북아 해양관광 거점도시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시는 관광 활성화와 주민 불편 해소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추가 대책을 검토 중이다. 바다패스의 긍정적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정책 보완이 필요한 시점이다.
주민이먼저지요 좀있으면잠잠해짐 지금뿐
관광유치도좋지만주민이우선이고거주하는분들는분들께폐를끼친다면무슨소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