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량 감소, 순위 하락…
위기의 한국 자동차 산업

한국 자동차 산업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국내 자동차 생산량이 2.7% 감소하며 글로벌 순위가 6위에서 7위로 내려앉았다.
내수 부진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며, 전문가들은 “지금 대응하지 않으면 10위권 밖으로 밀려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내수 위축, 결국 순위 하락으로 이어졌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가 9일 발표한 ‘2024년 세계 자동차 생산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자동차 생산량은 9395만 대로, 전년 대비 0.5% 줄어들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기록한 것이다. 이 흐름 속에서 한국도 생산량이 413만 대로 떨어지며 7위로 하락했다.
수출은 소폭 증가했지만, 내수가 163만 5000대로 6.5% 급감하면서 생산량을 끌어내렸다.
특히, 일본(-8.5%), 태국(-20.0%), 스페인(-3.0%) 등 주요 자동차 생산국들의 감소세가 두드러졌고, 한국 역시 이 흐름을 피하지 못했다. 반면 멕시코는 수출 증가 덕분에 5.0% 성장하며 6위로 올라섰다.
글로벌 시장, 한국을 밀어내고 있다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한국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지난해 자동차 생산량 1위는 중국으로, 3128만 대를 생산하며 글로벌 점유율 33.3%를 차지했다. 중국은 정부 차원의 내수 확대 및 수출 지원 정책을 앞세워 생산량을 3.7% 증가시키며 16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미국은 내수 호조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체들의 재고 조정 영향으로 1056만 대를 생산하며 전년 대비 0.7% 감소했다. 일본(732만 대), 인도(570만 대), 독일(442만 대)이 그 뒤를 이었다.
멕시코가 5년 만에 6위로 올라선 가운데, 한국은 결국 한 단계 밀려나며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글로벌 시장에서 점점 설 자리를 잃고 있다”며 “내수 시장이 작은 상황에서 수출에 의존해야 하지만, 중국과 미국이라는 강력한 변수들이 발목을 잡고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 자동차 산업의 미래는?

한국 자동차 산업이 당면한 위기는 단순히 내수 부진 때문만이 아니다. 대외 변수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가 대표적이다. 미국이 자국 내 생산을 확대하려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한국 자동차 업체들도 해외 생산 비중을 늘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국내 공장의 가동률 저하와 부품업계의 경영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중국 자동차 업체들의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도 위협 요소다.
저렴한 가격과 정부 지원을 앞세운 중국 자동차들이 글로벌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어 한국 자동차 업계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국산차 업계는 내수 시장 확대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돌파구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하지만 현재로선 뾰족한 해법이 보이지 않아 위기의 그림자는 더욱 짙어지고 있다.
현기차엔 기회일지도… 말도 안되는 노조 이참에 정리하고 생산라인 해외 이전하면 경쟁력이 더 높아질지도 모르지.
현기아는 노조각성해야돼
아 마 이대로가면 폭망할것 머지안앗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