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관리비, 10년 새 40% 급등
가계대출 이자까지 겹쳐 이중고

“분양받을 때는 꿈 같았죠. 근데 지금은 여전히 월세에 사는 기분이에요.”
서울 동작구에 사는 직장인 박모 씨(41)는 요즘 월급날마다 통장을 들여다보며 한숨을 쉰다. 내 집 마련에 성공했다는 기쁨도 잠시, 매달 빠져나가는 아파트 관리비가 예상보다 훨씬 많아서다.
박 씨는 “대출 이자야 각오했지만, 관리비가 이렇게까지 나올 줄은 몰랐다. 월세처럼 돈이 빠져나간다”라고 토로했다.
그가 매달 내는 관리비는 평균 25만 원 수준으로, 여름이나 겨울엔 30만 원을 훌쩍 넘어간다.
박 씨의 사례는 결코 예외가 아니다. 아파트 관리비가 물가보다 빠르게 치솟으면서 자가 주택 거주자들조차 관리비 부담에 허덕이는 상황이다.
물가보다 가파르게 뛴 관리비

국내 아파트 관리비 상승 폭이 일반 물가 상승률의 두 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관리비 고지·결제 대행업체 ‘아파트아이’가 지난 10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용면적 1㎡당 월평균 관리비는 2015년 2065원에서 지난해 2895원으로 40.2%나 뛰었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20.3%에 불과했다.
특히 전용면적 84㎡ ‘국민 평형’ 기준으로 보면, 한 해 평균 관리비는 291만8000원으로 2015년보다 80만원 넘게 증가했다.

관리비가 크게 오른 이유로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 전기·난방비 등 에너지 비용 폭등, 건설 자재비 상승에 따른 장기수선충당금 인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실제로 공용 관리비는 10년 동안 41.9% 상승했다. 같은 기간 개별 관리비는 29.7% 올랐고, 특히 전기료는 최근 5년간 47%, 난방비는 29% 급등했다.
장기수선충당금은 무려 114.6%나 올라 2배 이상이 됐다.
계절별로는 여름철 에어컨 사용이 길어지면서 9월의 관리비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1㎡당 관리비가 2015년 1847원에서 3015원으로 63% 올랐다.
임대아파트, ‘저소득층 지원’이 오히려 부담

공공이 공급하는 임대아파트의 관리비가 일반 아파트보다 비싸다는 사실도 드러나며 논란이 됐다.
국민의힘 김희정 의원이 LH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700여 개 임대아파트 가운데 68개 단지는 1㎡당 공용관리비가 1000원 이상 비쌌다.
그중 29개 단지는 일반 아파트보다 2배 이상 높은 공용관리비를 부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의 한 행복주택은 1㎡당 공용관리비가 5380원으로, 같은 지역 일반 아파트보다 3500원이 더 비쌌다. 서울 동대문구의 행복주택도 5261원으로, 일반 아파트의 두 배를 넘었다.

임대아파트에 사는 저소득층 입주민은 비싼 관리비에 허덕이고 있다.
실제로 매년 2만 5000가구에 달하는 입주민이 관리비를 제때 내지 못하고 있으며, 체납 금액도 지난해에만 37억 원을 넘었다.
문제는 관리업체의 관리 품질에도 있다. 일부 업체는 품질평가에서 탈락하고도 다른 단지에 다시 선정되는 ‘회전문’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최근 4년간 이런 사례는 무려 100건이 넘는다.
높은 대출금리까지… ‘내 집 마련’이 부메랑

높은 관리비에 더해, 가계대출 금리 역시 서민층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월 신규 가계대출 금리는 연 4.65%로 대기업(4.48%)이나 중소기업(4.53%)보다도 높았다.
통상적으로는 가계대출 금리가 기업대출보다 낮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 들어 역전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억제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인 결과다.

은행들은 기준금리가 인하되자 기업대출엔 이를 바로 반영했지만, 가계대출에는 높은 가산금리를 적용해 인하폭을 최소화했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주요 시중은행들의 가산금리는 2023년에서 2024년 사이 최대 3배가량 늘었다.
주거 비용 부담이 폭등하는 가운데도, 일부 가계는 집값 상승 기대감에 ‘영끌 대출’에 다시 나서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주택구입 목적 주담대 신규 건수는 지난달 7조원을 넘어서며 지난해 9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집값 부담에 이어 관리비와 대출이자까지 상승하면서 자가 보유자들의 생활비 압박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처럼 관리비가 물가를 웃도는 수준으로 오를 경우, 자가 거주가 주거 안정 수단이 아닌 또 다른 비용 부담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관리비 인상의 구조적 원인을 면밀히 점검하고, 서민 주거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제도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아니 그럼 관리비 전기새 수도세 둥둥 존언 사용한 비용도 냐는게 억울해 ? 정널 웃가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