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야심 드러내더니 “이젠 바다도 넘보나” … 심상치 않은 소식에 국민들 ‘발칵’

“어장인가, 영토인가”
서해 수면 아래 도사린 중국의 속내
해상 대치로 번진 한중 갈등
중국
중국 서해 불법 구조물 / 출처 = 뉴스1

“그 구조물은 양식장일 뿐이다.”

한국 해양조사선이 서해상 구조물을 조사하려 접근하자, 중국 해경이 건넨 한마디다. 이 말에 한국 해경은 “우리는 정당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단호하게 맞섰다.

중국의 거침없는 영유권 확장 움직임이 이제는 서해로 뻗고 있다. 김치, 한복, 부채춤 등 문화 정체성을 두고 벌어졌던 논란에 이어, 이제는 해양 경계선에서도 팽팽한 긴장이 흐르고 있다.

중국이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 무단으로 대형 구조물을 설치하면서 양국 간 해양 갈등이 또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서해상 대치…1km 앞까지 다가간 한국 조사선

중국
중국 서해 불법 구조물 / 출처 = 뉴스1

지난달 26일 오후, 해양수산부 산하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해양조사선 ‘온누리호’가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을 향했다. 목적은 중국이 설치한 정체불명의 철골 구조물을 점검하기 위해서였다.

온누리호가 구조물 1km 반경까지 접근하자, 중국 해경과 고무보트를 탄 민간인들이 나타났다. 조사 장비 투입을 저지하려고 현장을 둘러싸면서 긴장이 고조됐다.

일부 민간인은 작업용 칼을 지니고 있었으나, 다행히 물리적 충돌은 발생하지 않았다. 한국 해경은 이에 대응해 함정을 급파했다. 양측은 약 2시간 동안 해상에서 팽팽한 대치를 벌였다.

문제가 된 수역은 한국과 중국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이 겹치는 지역으로, 양국이 어업 자원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구간이다.

하지만 ‘어업과 항행 외 다른 행위는 금지’라는 합의가 무색하게 중국은 이동식 구조물 설치를 강행해 왔다.

수십 미터 철골 구조물…중국의 진짜 의도는?

중국
중국 서해 불법 구조물 / 출처 = 연합뉴스

중국은 지난해 4~5월에도 구조물 2기를 설치했으며, 올해 초에는 직경과 높이가 각각 50미터에 이르는 또 다른 구조물을 새로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측은 해당 구조물에 대해 “어업을 위한 양식장”이라는 해명을 내놨지만, 전문가들은 이를 ‘영유권 확보를 위한 포석’으로 해석하고 있다.

중국
중국 서해 불법 구조물 / 출처 = 연합뉴스

정부는 즉각 반응에 나섰다. 외교부는 2월 18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측에 분명하고 단호한 입장을 전달했다”며 “우리 해양 권익이 침해받지 않도록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실무 차원에서는 주한 중국 대사관 인사를 직접 만나 항의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정보원 역시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라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대응 방안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문화부터 영토까지…확장되는 ‘중국식 주장’

중국
중국 서해 불법 구조물 / 출처 = 연합뉴스

문화 분야에서도 중국의 ‘자국화’ 시도는 거침이 없다.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에 따르면, 중국 지린성은 부채춤, 널뛰기, 상모춤 등 19개 항목을 이미 자국의 무형문화유산으로 등록했으며, 돌솥비빔밥 조리법마저 ‘조선족 전통’으로 규정해 프랜차이즈 매장에 홍보하고 있다.

서 교수는 “중국은 조선족이라는 명분을 앞세워 한국의 전통문화를 슬쩍 자기네 것으로 편입하려 한다”며 “이제는 해외에서도 한복을 입고 부채춤을 추며 ‘중국 무용’이라 소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우려했다.

지난해 초 미국 NBA 덴버 경기장에서는 한복을 입은 중국인들이 부채춤을 선보였고, 홍콩 고궁박물관 SNS에는 ‘중국 전통무용’이라는 설명과 함께 부채춤 사진이 게시되기도 했다.

이제는 문화 왜곡을 넘어, 바다 위 구조물로 국경선마저 흔들려 하고 있다. 더욱이 말보다 행동이 필요한 시점이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9

  1. 견자보다 못한 짐승들 ㆍ어거지도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는데 힘으로만 밀어붙이는 미개종족들 ㆍ그런 저들에게 굽신 거리며 아부하는 더러운 정치꾼들을 국민의 대표라고 뽑아준 인간들도 제정신은 아니다 ㆍ

관심 집중 콘텐츠

Kiyosaki

“현금은 쓰레기, 지금 저축하면 14억 날린다”… 억만장자의 폭탄 선언에 전 세계 ‘발칵’

더보기

“제주도 가려던 계획 접었다”… 웃음꽃 사라진 그곳, 관광객들의 속마음에 지역 경제 ‘날벼락’

더보기
Busan

“부산이 다시 살아난다”… ‘1조 원’ 쏟아붓는 프로젝트 소식에 ‘들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