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회생에 휘말린 국민연금
1조 원대 손실 우려 커지며 논란

안전하다는 말만 믿고 맡긴 노후자금이 하루아침에 사라질 위기에 처하면서, 5060세대의 분노와 허탈감이 거세지고 있다.
홈플러스가 법정관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기업에 투자한 국민연금이 약 1조 원의 손실을 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다.
상황은 점점 악화되고 있고, 구조조정, 폐점, 고용불안까지 불똥이 튀면서 사회 전반에 공포감이 퍼지고 있다.
구조조정 그림자… 폐점 위기 점포 수십 곳

홈플러스는 최근 임대료 인하 협상이 결렬된 전국 17개 점포에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이로 인해 폐점이 가시화되면서 업계 전체가 긴장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전체 126개 점포 중 임차 운영 중인 68개 점포 가운데 61곳을 상대로 임대료 조정 협상을 벌였지만, 일부 점포와는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문제는 이 협상이 단순한 비용 조정의 문제가 아니라는 데 있다.
임대료 감면이 이뤄지지 않으면 자산가치 하락으로 이어져 부동산 투자자들의 손실이 발생하고, 이는 곧 구조조정으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번에 계약 해지된 점포에 근무하는 인원만 2000~3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추가 폐점까지 고려하면 1만 명에 가까운 일자리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홈플러스 측은 “해당 직원들에게 인근 점포 전환 배치와 소정의 격려금을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 밝혔지만, 지방 점포의 경우 전환 근무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예컨대 폐점 대상인 강원 삼척점의 경우, 지역 내 대체 점포가 없어 근무 지속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국민연금, “절반은 회수했다” 말했지만…

문제는 이 사태가 단지 유통업계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는 데 있는데, 국민들의 노후를 책임지는 국민연금이 이 기업에 투자했기 때문이다.
2015년,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영국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를 인수할 당시, 국민연금은 RCPS(상환전환우선주)에 5826억 원, 보통주에 295억 원을 투자했다.
RCPS는 일정 기간 후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을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금융상품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이번 회생 절차 돌입으로 이 구조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국민연금은 “리파이낸싱과 배당을 통해 3131억 원을 회수했다”고 밝혔으나, RCPS는 대출보다 변제 순위가 낮아 손실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국민연금은 회생 진행 상황을 면밀히 지켜보며, 투자금 회수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RCPS 조건 변경 논란에 대해서도 “투자 조건은 변경된 바 없다”고 반박했다.
“국민연금, 1조 물렸다”… 노조의 엇갈린 주장

노조는 홈플러스 법정관리 신청 배경에 대해 강한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민주노총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는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경영에서 손을 떼고 청산 절차로 수익을 극대화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노조 측은 “MBK가 과거에도 국내외 기업을 인수한 뒤 매각을 통해 수조 원의 수익을 챙긴 전례가 있으며, 홈플러스와 네파 역시 청산 대상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MBK는 이번 회생절차를 통해 홈플러스를 남의 손에 넘겨 안락사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며 “그 피해는 결국 직영직원, 협력업체 직원, 소비자, 투자자 모두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국민연금을 포함한 공공 금융기관들이 보유한 RCPS에 대해서도 우려를 나타냈다.
노조는 “상환전환우선주는 처음 7000억 원에서 배당 등을 통해 1조 1000억 원까지 불어났으며, 국민연금이 투자한 6000억 원 중 회수된 것은 절반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또 “실제로 회수된 금액은 배당금일 가능성이 크며, 원금은 여전히 홈플러스에 묶여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노조는 “홈플러스의 2조 원대 금융부채 중, 메리츠금융그룹이 절반 이상인 1조 2000억 원을 담보로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회생 절차에서 국민연금 등 후순위 채권자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끝까지 협상”… 하지만 불안은 계속된다

홈플러스는 아직 영업 중단을 결정한 것은 아니며, 계약 해지를 통보한 점포에 대해서도 다음달 12일까지 협상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회사 측은 “모든 직원의 고용은 보장하고,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며 회생 절차 마무리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점포 수 축소, 시장 경쟁력 약화, 투자 손실, 고용불안 등 연쇄적인 여파는 이미 가시화되고 있다.
회생 절차의 향방에 따라 금융기관과 투자자들의 손실 규모가 달라질 수 있어 업계 안팎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빨갱이노조들은 오나가나 나라경재파탄낸다
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