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했던 인생의 황금기, 하지만 현실은 빚더미
부모 부양과 자녀 교육비 부담, 노후 준비는 사치
“일하고 싶어도 일자리 없어”… 40·50대의 고용 절벽

“30년 직장생활이 이렇게 허무하게 끝날 줄은 몰랐습니다.”
올해 53세인 김모 씨는 지난해 회사 구조조정으로 갑작스럽게 퇴직했다. 새로운 일자리를 찾으려 했지만, 경력과 연봉을 고려하면 맞는 자리를 찾기가 쉽지 않았다.
아들 대학 등록금에 대출 이자까지 감당해야 하지만, 재취업의 문턱은 생각보다 높았다. 그는 “노후 준비는커녕 당장 생활비가 걱정”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노후가 아니라 생존이 문제… 흔들리는 중년

4050세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연령층으로, 전체 인구의 20%인 850만 명에 달한다. 사회·경제적으로 안정된 ‘황금기’일 것으로 기대되지만, 현실은 정반대다.
이들은 위로는 부모를 부양하고, 아래로는 자녀 교육비를 감당해야 하는 ‘샌드위치 세대’다.
직장에서는 후배들에게 치이고, 상사의 압박에 시달리면서도 가계의 경제적 부담까지 떠안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40대의 가계소득 대비 부채비율(LTI)은 2.5배를 넘어섰다.

지난해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도 40대 가구주의 평균 부채가 1억 2,531만 원으로, 이 중 57.9%가 주택담보대출이었다.
부동산을 사기 위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했던 이들은 이제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로 이자 부담에 허덕이고 있다.
교육비 부담도 만만치 않다. 신한은행이 발표한 ‘2024 보통사람 금융보고서’에 따르면,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40대 가구의 평균 소득은 월 744만 원이지만, 그중 116만 원(15.6%)을 교육비로 사용하고 있다.
소득 하위 20% 가구도 교육비로 56만 원을 지출하는 등 부담이 심각한 수준이다.
너무 빠른 퇴직… ‘신(新) 사오정’의 초상

문제는 이런 상황에서 퇴직이 점점 앞당겨지고 있다는 점이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 따르면, 서울에서 근로하는 근무자들의 주된 직장 평균 퇴직 연령은 43.5세였다. 법적 정년(60세)보다 17년이나 빠르다.
정년이 보장되지 않는 현실 속에서 4050세대는 준비되지 않은 퇴직을 맞닥뜨린다. 하지만 재취업도 쉽지 않다.
설령 재취업하더라도 평균 임금은 이전 직장의 62.7% 수준으로 떨어진다. 게다가 정규직 비율은 74.5%에서 42.1%로 급감한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050세대의 비자발적 퇴직자는 48만 8,544명으로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조기 퇴직 후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데 평균 10개월이 걸리며, 50대 이상 중년층의 재취업률은 40%에도 미치지 못한다.
조기 퇴직의 가장 큰 문제는 ‘소득 공백’이다.
서울시 평균 퇴직 연령인 43.5세 이후 연금을 받기까지는 13년의 소득 공백이 발생한다. 이 기간 동안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지 못한 이들은 경제적 불안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특히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생) 954만 명이 본격적으로 은퇴하면서, 노동시장과 사회·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4050세대의 노동시장 이탈이 심화될 경우, 사회 전체의 생산성과 소비가 위축될 것”이라며, “단순한 정년 연장이 아닌 재취업 지원과 계속고용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년을 위한 맞춤형 대책 시급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중장년층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시는 ‘서울런4050’ 프로젝트를 통해 중년층의 일자리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직업 역량 강화, 디지털 교육, 경력 전환 지원 등을 포함해 실질적인 재취업 기회를 제공한다.
전문가들은 중년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돕기 위해 ▶계속고용제도 도입 ▶중년 맞춤형 임금체계 개편 ▶4050 채용 기업 인센티브 지급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전문가들은 “경제적 소득을 상실한 가장들이 가정을 부양하지 못한다는 자괴감에 시달리며 사회적 고립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한다.
40·50대가 겪는 고용 불안이 개인을 넘어 사회 전체의 문제로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근본적인 해결책이 시급한 시점이다.
그 구축아파트 누가 사주나요 ㅎ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