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팝 흥행에 불쾌감 드러내는 중국
“왜 표절해”… 주장 살펴보니 ‘황당’

글로벌 흥행 중인 한류 기반 애니메이션을 향해 “중국 문화를 훔쳐갔다”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이 쏟아졌다. 문제는 이 비난의 출처가 정식 시청이 불가능한 중국 내부에서 나왔다는 점이다.
최근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미국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전 세계 영화 순위 1위를 기록하며 한류의 저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 작품은 공개 직후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41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고, 여전히 글로벌 차트를 굳건하게 지키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중국 최대 리뷰 플랫폼 ‘더우반’에는 1천 건이 넘는 리뷰가 쏟아졌는데, 상당수는 “중국 매듭이 왜 나오는가”, “중국적인 문화를 한국식으로 왜곡했다”는 불만으로 채워졌다.
하지만 중국은 넷플릭스를 정식 서비스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불법적인 경로로 해당 작품을 감상한 것으로 보인다.
한류 애니메이션, 글로벌 시장 점령하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K팝 걸그룹 ‘헌트릭스’가 악령을 사냥하는 데몬 헌터로 활동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감독은 한국계 캐나다인 매기 강과 미국 출신의 크리스 아펠한스가 맡았고,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를 제작한 소니픽처스 애니메이션이 제작을 맡았다.
또한 배우 안효섭과 이병헌이 주요 배역의 목소리를 맡아 몰입감을 더하기도 했다.
강 감독은 “어린 시절 한국에서 보낸 방학과 사촌들과의 기억, TV와 음악을 접했던 경험이 작품에 고스란히 녹아 있다”고 말했다.

영화는 한국 무속 신앙의 대표적 요소인 도깨비, 저승사자, 호랑이 귀신을 비롯해 남산타워, 북촌한옥마을, 기와집 등 실재하는 한국의 장소와 생활 문화를 세심하게 묘사했다.
영어로 대사가 진행되지만 “음소거 상태로 보면 한국 영화 같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다.
강 감독은 “굿이라는 문화가 음악과 춤으로 악령을 쫓는다는 점에서 K팝 무대와 닮아 있다”며, “굿이 어쩌면 최초의 K팝 공연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훔쳤다” 주장한 중국, 정작 불법 시청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지난 25일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중국 누리꾼들이 말도 안 되는 주장을 반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작 그들은 넷플릭스를 합법적으로 시청할 수 없는 상황에서 불법 유통된 영화를 보고 비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불법 시청이 당연한 것처럼 돼버린 중국 내 분위기도 문제지만, 타 문화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태도가 더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이어 “자신들의 문화를 지키고 싶다면 먼저 타국의 문화를 존중할 줄 아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매기 강 감독은 “어렸을 때부터 한국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싶었다”며 “이 영화는 한국 문화의 아름다움을 담는 동시에, 전 세계 관객의 마음을 움직이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 영화는 ‘한국적인 것’에 기반하면서도 전 세계 관객들이 공감할 수 있는 스토리와 캐릭터로 구성돼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한국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전 세계와 연결되는 서사와 감정선을 통해 한류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하고는 단교가 답!
다가져가야 시원하니 어찌 모든것이 자기꺼라고 만 하니 대국소리 는 듣고싶고 행동은 쫌생이고 있는 문화라도 잘 챙기시길 중국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