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견제에 숨통 트인 K-태양광
IRA 개정 앞두고 셈법 복잡
반사이익 기회일까, 불확실성 덫일까

한국 태양광 기업들이 미국 시장을 향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미국 정부가 동남아산 태양광 제품에 고율 관세를 예고하자, 국내 기업들에겐 절호의 찬스가 열렸다.
하지만 한편으론 세액공제 혜택 축소 가능성도 있어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
‘관세 폭탄’은 중국 견제, 한국엔 호재

지난 20일(현지시각),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태국, 베트남에서 수입된 태양광 제품이 자국 산업에 실질적 피해를 준다고 만장일치로 판정했다.
이는 미국 상무부가 예고했던 반덤핑 및 상계관세 시행을 위한 마지막 절차였다. 해당 관세율은 최고 3521%에 달하며, 사실상 중국 태양광 업체들의 우회 수출을 겨냥한 조치다.
중국 제품에 직접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 기업들이 동남아를 경유해 미국 시장에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려는 의도다.
업계 한 관계자는 “중국 이외 국가에서 원자재를 조달한 기업들만 살아남을 수 있는 구조가 됐다”며 “K-태양광엔 긍정적인 시그널”이라고 설명했다.
IRA 개정 논의…세액공제 축소는 ‘양날의 검’

그러나 마냥 낙관할 수만은 없다. 미국 의회에선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일부 조항을 손보려는 논의도 진행 중이다. 특히 첨단 제조시설에 제공되던 세액공제 종료 시점을 2033년에서 2028년으로 앞당기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
삼성증권은 이로 인해 한화큐셀이 받을 세액공제가 6630억 원에서 2648억 원으로 60% 줄어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OCI홀딩스도 미국 텍사스에 2GW 규모의 생산시설을 구축 중이라 이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중국산 퇴출은 긍정적이지만, 국내 기업에도 독이 될 수 있는 구조”라고 경고했다.
반등 신호 감지…K-태양광, 다시 뜰까?

한때 K-태양광은 중국의 과잉 공급에 밀려 고전했다. 중국의 저가 공세로 수익성이 급락했고 주요국들이 원전으로 회귀하면서 수요도 정체됐다. 2023년 한국태양광산업협회는 정부에 긴급 지원을 촉구할 정도였다.
하지만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미국 내 태양광 모듈 수요는 50GW에 달하지만, 공급은 25GW 수준에 불과하고,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에서도 수요가 증가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태양광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점도 주목된다. 그는 풍력보다 효율적이라는 이유로 태양광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한 업계 인사는 “AI 데이터센터 확장과 ESS 수요 폭증으로 미국 내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그 에너지원을 누가 공급하느냐가 곧 산업의 판도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매국노 주사파떨거지들이 값싼 중국산 솔라패널사고서 리베이트 받아쳐먹은 희대의 매국사건이고 이때문에 국내업체망하고 저질 중국산이 흉물로 남아서 전력도 모자라 한전이 엄청난적자를 면치 못했다
시노→ No→ N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