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만 원 보상 문자에 눈길
정말로 받을 수 있을까?

SK텔레콤 해킹 사건 이후, 한 지방 대리점이 고객들에게 보낸 문자 한 통이 가입자들의 불안 심리를 송두리째 뒤흔들었다.
문자 메시지엔 “디지털 도어락 비밀번호가 유출된 셈이다”라는 문구와 함께, 집단소송 대행과 최대 30만 원을 받을 수 있다는 말이 적혀 있었다.
심지어 일부 대리점에서는 유심 교체를 요청한 고객에게 고가 휴대폰 구매를 강요하고, 동의 없이 서명을 기재한 정황까지 드러나며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다.
불안 심리 자극한 ‘보상 문자’

2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의 한 지역 대리점이 고객들에게 발송한 문자가 확인됐다.
문자에는 “승소 시 1인당 최대 30만 원 보상 가능”이라며, 신분증과 SKT 이용계약증명서를 지참하면 매장에서 집단소송 신청을 무료로 도와준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를 ‘디지털 도어락 비밀번호’에 비유하며, 이번 해킹이 단순 사고가 아닌 심각한 보안 위협임을 강조했다.
마치 집 현관 비밀번호가 외부에 노출된 것처럼 공포감을 자극한 해당 문자의 발송 주체는 직영 대리점이 아닌 개별 대리점으로 파악됐다.
LG유플러스 본사는 “본사는 이와 같은 영업을 하지 않는다”며 “문자 발송이 확인된 즉시 중단 조치했으며, 추가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해명했다.
해킹 혼란 틈탄 ‘기기 강매’ 논란

해킹으로 인한 유심 교체 대란이 이어지던 지난달 29일, 60대 A 씨는 서울 상봉동의 한 대리점을 찾았다.
하지만 유심은 “재고 소진”이라는 이유로 교체받지 못했고, 대신 직원은 169만 원이 넘는 최신 갤럭시 울트라 모델을 권유했다.
직원은 “기기를 바꾸면 요금제가 오히려 내려간다”며 기기변경을 유도했고, 결국 A 씨는 원치 않던 스마트폰을 36개월 할부로 구매하게 됐다.
그러나 그가 받은 계약서는 단 한 장뿐이었다. 요금제, 기기 정보 등 주요 항목은 모두 공란이었고,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부가서비스도 기재돼 있었다.
다음날 딸 B 씨가 철회를 요청하자 대리점은 “포장을 개봉한 기기를 어떻게 원상복구할 것이냐”며 반문했으며, 심지어 계약서 원본 제공도 “권한이 없다”며 거절했다.

이후 다른 대리점을 찾아 받은 서류에는 20여 곳에 A 씨의 서명이 적혀 있었지만, 필체는 모두 달랐다.
이에 A 씨 부녀는 대리점 직원을 사기 및 사문서위조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고, 고소장이 접수된 지 일주일 만에 대리점은 기기 변경 계약을 철회했다.
대리점 관리자는 “내가 없을 때 벌어진 일인데, 피해는 모두 내 책임이 된다”며 고소 취하를 요청했다.
A 씨는 “나는 딸이 도와줘서 겨우 철회했지만, 홀로 계약한 어르신들은 과연 얼마나 제대로 대응할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 토로했다.
한편, SK텔레콤 본사는 “해당 상황은 본사의 권매 지침과 무관하다”며 “고객이 원치 않은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에는 철회가 가능하다”고 강조했으며, 현재 본사 차원에서 해당 대리점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해킹 여파, 악성 앱까지 급증

SK텔레콤 해킹 사태는 단순 정보 유출에 그치지 않았다.
보안기업 에버스핀에 따르면, 해킹 이후 ‘한국소비자원’이나 ‘스마트세이프’ 등의 명의를 도용한 악성 앱 유포가 급증했다.
이들 앱은 피해구제나 보안 점검을 사칭해 원격제어 앱을 설치하게 만들고,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을 사용한다.
에버스핀은 “특정 이슈에 편승한 조직적 공격”이라며, 유관 기관과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통신 3사가 공동으로 보안 대응에 나설 시점에 경쟁사 간 과도한 마케팅이 자칫 더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해킹의 파장은 단순히 정보 유출을 넘어, 신뢰와 윤리의 문제로 번지고 있다.
LG 양아치들. 기회다 싶으니
고객들 불편보단. 경쟁업체 죽이기하고있으니
그래도 LG는 거른다. 차라리 KT가 낳지
장삿속으로 소비자 고객을 함부로 여기면,그 업소 매장은 반드시 망함!(결과.댓가는 사필귀정.천필염지.인과응보.뿌린대로 거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