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어가는 부산 “살 길은 이것뿐이다”… 대통령이 직접 지시한 ‘비상 작전’에 시민들 ‘들썩’

인구 줄고 경제 위축된 부산
정부, 해수부 이전으로 반전 노려
연내 이전 완료 목표로 속도 낸다
부산
사진 = 연합뉴스

해양수산부가 부산 이전을 본격화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해수부의 연내 부산 이전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데 따른 조치다.

1일 해양수산부는 기존 ‘부산 이전 준비 TF’를 ‘부산 이전 추진기획단’으로 확대 개편했다고 밝혔다. 추진기획단은 김성범 차관을 단장으로 총괄·제도·예산·정보화 등 4개 분과로 구성된다.

정부는 이전을 단순한 행정 조정이 아닌 지역 균형 발전과 해양수산 정책 강화를 위한 핵심 과제로 보고 있다. 부산시도 ‘이전지원팀’을 신설하며 협조에 나섰다. 정부와 지방이 함께 연내 이전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부산, 해양수산 정책의 중심지로

부산
사진 = 연합뉴스

부산은 국내 최대 항만 도시로, 해운·물류·수산업 등 해양산업 기반이 집약된 지역이다. 해수부가 이곳으로 옮겨오면 정책 집행의 효율성과 현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산하기관과 관련 기업, 연구기관 등이 함께 이전할 경우 산업 집적 효과도 기대된다. 조선, 물류, 해양플랜트 등 기존 산업의 고도화가 가능해지고, 민간 분야에서도 양질의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청년층 유입 효과도 기대된다. 부산노동포럼 등 지역 단체들은 “해수부 이전이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인구 유입과 소비 확대… 지역경제 자극 기대

부산
사진 = 연합뉴스

해수부 공무원과 가족, 관련 기업 종사자 등 수천 명이 부산으로 이동할 경우, 주거·교육·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전으로 인한 인구 유입과 소비 확대로 지역 상권과 부동산 시장의 활력 회복도 기대된다.

이와 함께 해양클러스터 조성, 해사전문법원 신설 등 후속 인프라가 함께 구축될 경우, 해수부가 현장 중심의 기능을 수행하며 부산 해양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단기적인 효과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 산업 생태계 강화와 일자리 창출, 지역 정착률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해수부 이전, 부산 재도약의 기회 될까

부산
사진 = 연합뉴스

정부는 이번 이전이 수도권 집중 해소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부산을 포함한 부울경 지역은 그동안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장동력이 부족했고, 지방 소멸 위기까지 제기돼 왔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해수부 부산 이전을 약속했고, 취임 후에는 이를 구체화하는 지시를 내렸다.

반면, 세종·인천 등 기존 해수부 업무와 연계돼 있는 지역에서는 비효율성과 행정 분산에 대한 우려도 있다. 이전이 완료된 이후 이를 어떻게 보완할 것인지도 정책 추진 과정에서 중요한 과제가 될 전망이다.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은 단순한 청사 이전이 아니다. 침체된 지역경제에 동력을 불어넣고, 해양산업을 중심으로 한 구조 전환을 유도하는 전략적 조치다.

이전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경우, 부산은 해양수도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일자리·인구·산업 전반에서 반전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정부와 지방이 함께 준비하는 이 정책이 실제 효과로 이어질지, 연내 이전 추진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