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참관 중 발생한 전복 사고
낡은 기술 고집하다 체면까지 추락
K-방산과 대조된 북한의 군사 현실

북한이 야심 차게 공개한 5000톤 급 신형 구축함이 진수식 도중 눈앞에서 전복됐다. 그것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지켜보는 가운데서였다.
세계 각국의 시선이 집중된 북한의 대형 무기 프로젝트가 고전적인 진수 방식의 선택과 무리한 속도전의 결합으로 한계를 노출한 모습이다.
진수식이 던진 충격, 북한 기술의 민낯

이번 사고는 지난 21일 북한 청진조선소에서 발생했다. 진수대에서 배를 밀어 바다로 넣는 ‘슬립웨이’ 방식이 문제였는데, 구축함의 한쪽이 먼저 기울며 중심을 잃고 쓰러지면서 일부가 물에 잠기게 된 것이다.
해군의 위신은 물론이고 김정은 체제의 자존심까지 손상된 순간이었다. 북한 매체는 “지휘 미숙과 조작상 부주의”를 사고 원인으로 발표했지만, 전문가들은 기술 부족에 따른 구조적 한계를 지적했다.
무게가 5000톤이 넘는 대형 함정을 고작 측면으로 미끄러뜨리는 방식으로 진수한 건 무모함이었을지도 모른다.
현대 조선소라면 당연히 ‘플로팅 독(Floating Dock)’을 사용했을 테지만, 북한은 이를 갖추지 못한 채 무리한 전시행정을 시도했다.
책임은 실무자에게, 줄줄이 구속

사고 이후 북한은 빠르게 책임자 색출에 나섰고, 그 결과 청진조선소 기사장과 행정부 지배인 등 실무진이 엄중 문책과 처벌을 받았다.
사고 조사단은 당 중앙군사위원회에 복구 계획과 피해 상황을 보고했으며, 수중 검사를 통해 선체 일부 침수와 긁힘 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정은은 이 사고를 “절대 용납할 수 없는 범죄”라고 규정하며 관계자들을 강하게 질타했다. 이는 책임을 추궁하고 내부 기강을 다잡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K-방산과 기술 격차, 현실은 냉정하다

같은 시기 한국은 세계 시장에서 K-2 전차와 K-9 자주포 등 주요 무기 체계를 수출하며 ‘K-방산’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폴란드, 호주, UAE 등 여러 국가에서 한국 무기의 성능, 납기, 가격 경쟁력이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반면 북한은 5,000톤 급 구축함을 단기간에 건조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 제대로 된 추진체를 확보했는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정지된 상태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은 전시용에 불과하다”며 “실전 운용 능력은 확인 불가”라고 평가했다.
이번 구축함 사고는 단순한 실수를 넘어, 북한 체제의 한계와 군사 기술력의 문제점을 드러낸 사건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드러난 실패는 북한 군사개발의 구조적 어려움을 보여주는 신호로 볼 수 있다.
북한은 이번 사고로 기술 경쟁이 아닌 체면 경쟁에서 한계를 드러낸 셈이다.
국개들이기술넘겨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