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불붙은 국가 대전환
전 국민이 쓰는 독자 AI 만든다
5년간 예산 1조 245억 원 투입

정부가 전 국민이 손쉽게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 ‘모두의 AI’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오는 2029년까지 1조 24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누구나 자신의 필요에 맞춰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세종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 자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독자 AI 모델, 국민 곁으로

정부가 구상하는 ‘모두의 AI’는 세계적인 성능을 갖춘 범용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자체적으로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분야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과기정통부는 GPU, 데이터, 인재를 전략적으로 지원해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AI모델의 95% 수준에 도달하는 독자 AI를 개발할 계획이며, 전 국민에게 무료로 제공하고, 국방, 공공, 산업 등 특화 영역에 맞춤형 AI도 보급한다.
특히 ‘AI 테스트베드 코리아’ 플랫폼을 2026년까지 구축해 국민 누구나 직접 AI 서비스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지역 간 AI 접근 격차 해소를 위해선 전국 299개 시·군·구에 ‘AI디지털배움터’를 설치하고, 디지털포용기기 2만5000대를 보급한다.
AI 3대 강국 목표, 12조 투입

이번 사업은 한국을 AI 3대 강국으로 만들겠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맞닿아 있다. 정부는 향후 5년간 총 12조 3000억 원을 투입해 슈퍼컴 6호기와 AI컴퓨팅 센터를 구축하고, GPU 5만 개 확보를 추진 중이다.
여기에 민간 세액공제 및 규제 특례 제도도 마련해 AI투자 100조 원 달성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AGI(범용 인공지능)와 같은 차세대 AI 기술 연구개발에도 대규모 예산을 투입한다.
‘모두의 AI’ 설계도 그리는 정부

정부는 이 같은 대전환을 이끌 조직 개편도 병행한다. 과기정통부 내에 ‘AI정책실’을 신설해 정책 기획과 집행을 전담하게 하고, 분야별로 국·과장급 전담 부서를 설치해 속도감 있게 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민간 전문가 중심의 국가AI위원회 기능을 강화하고, AI 분야 컨트롤타워 역할을 명확히 할 계획이다.
현재 두 차례 유찰된 국가 AI컴퓨팅 센터 공모는 조건을 완화하거나 새로운 방식으로 재추진되며, 7월 중 최종 방향을 확정할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실력 있는 국내 AI기업들을 선별해 GPU, 데이터, 인재 등을 집중 지원해 세계적 수준의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민간이 참여하는 특수목적법인(SPC) 구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AI 생태계를 확대하겠다는 취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