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개국 휩쓸더니 “한국이 해냈다”… 의외의 돌풍에 ‘깜짝’

K-베이커리, 글로벌 시장에서 급성장
SPC그룹, 동남아·중동 할랄 시장 본격 공략
한국
사진 = 연합뉴스

SPC그룹이 글로벌 제빵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말레이시아에 대규모 생산공장을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할랄 시장에 진출한 SPC그룹은 아시아뿐만 아니라 북미·유럽·아프리카까지 공략하며 K-베이커리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SPC그룹의 파리바게뜨는 현재 14개국에 6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 중이며, 2030년까지 1만 2000개 매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K-베이커리는 이제 더 이상 국내 시장에만 머무르지 않고,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말레이시아 생산공장, 동남아·중동 공략의 거점

한국
사진 = SPC

SPC그룹은 최근 말레이시아 조호르주 누사자야 테크파크에서 ‘파리바게뜨 조호르 생산센터’ 준공식을 열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이곳은 연면적 1만 2900㎡ 규모로, 하루 최대 30만 개, 연간 1억 개의 베이커리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대규모 시설이다.

SPC그룹은 당초 예상보다 두 배 이상 많은 800억 원을 투자해 최첨단 자동화 시스템과 위생 설비를 갖췄다.

무슬림 인구가 많은 동남아와 중동 시장에서는 ‘할랄 인증’이 필수적인 요소다.

이를 고려해 SPC그룹은 조호르 생산센터를 할랄 제품 생산 거점으로 삼고, 동남아 및 중동 시장 공략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SPC삼립의 수출용 할랄 제품도 이곳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향후 스낵·바게트·디저트 등 B2C용 제품 카테고리도 확장할 계획이다.

북미·유럽·아프리카까지… 글로벌 확장 박차

한국
사진 = SPC

SPC그룹의 해외 시장 공략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북미 시장에서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SPC그룹은 최근 미국 텍사스주 존슨카운티 벌리슨시에 제빵공장 부지를 매입하고, 본격적인 건설에 착수했다.

이 공장은 약 15만㎡ 규모의 부지에 1억 6000만 달러(약 2300억 원)를 투자해 2027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1단계로 1만 7000㎡ 규모로 건설되며, 2030년까지 2만 8000㎡로 확장해 연간 5억 개의 베이커리 제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한국
사진 = 연합뉴스

북미 시장에서의 성공을 발판으로 SPC그룹은 중남미 지역까지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SPC그룹 관계자는 “텍사스 공장은 북미뿐만 아니라 향후 중남미 시장까지 베이커리를 공급하는 핵심 기지가 될 것”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K-베이커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K-베이커리의 인기는 이미 숫자로도 증명되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2024년 1~11월 베이커리 제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8.3% 증가한 4억 400만 달러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케이크, 파이, 와플 등의 수출이 18.9% 급증하며 세계 각지에서 한국 베이커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한국
사진 = 연합뉴스

SPC그룹의 글로벌 확장은 단순한 해외 진출이 아니다.

세계 200여 개국에서 K-베이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SPC그룹은 한국 베이커리 산업을 세계적인 브랜드로 키우기 위한 중요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향후 SPC그룹이 동남아·중동 할랄 시장을 넘어 북미·유럽·아프리카까지 얼마나 빠르게 성장할지, 그리고 K-베이커리가 세계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1

  1. 아! 이렇게 고마울수가 베이커리로 수출을 해 우리나라가 성장을 하니 넘 좋네요 축하드립니다

관심 집중 콘텐츠

Samsung

30년 만에 “한국의 자존심이 무너지나”… 삼중고 닥친 삼성 ‘휘청’

더보기
China

불법 판쳤는데 “이런 기회가 찾아올 줄이야”… ’48조’ 시장 다가오자 ‘웃음꽃’

더보기
Samsung

불황 속에서도 “삼성이 또 해냈다”… 40년 동안 지켜낸 ‘역대급’ 기록에 ‘환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