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 지켜보고 있을 순 없다”… 인당 ‘720만 원’ 지원금 소식에 ‘환호’

청년 빠져나간 부산, 통째로 흔들
‘소멸’ 막기 위한 승부수 던졌다
지원금
사진 = 연합뉴스

급격한 인구 유출에 허덕이던 부산이 결국 칼을 빼들었다. 지방 소멸 위기에 놓인 상황에서 청년층을 붙잡기 위한 강도 높은 ‘통합 고용 지원책’을 내놓은 것이다.

산업의 중심지에서 ‘소멸 위험 도시’로 추락한 부산이 이번 지원책을 통해 과연 반전을 이뤄낼 수 있을까.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부산의 급격한 쇠퇴를 짚으며 “젊은이들이 부산을 떠나는 탈출 현상은 수도권 중심 경제 구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1995년 이후 60만 명 가까운 인구가 빠져나갔고, 65세 이상 고령층 비율은 이미 24%에 달한다.

이러한 결과, 지난해에는 한국고용정보원이 부산을 ‘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한 도시로 공식 평가하기도 했다.

지원금
사진 = 연합뉴스

중앙 집중형 산업 구조도 문제인데, FT는 “한국의 100대 기업 중 본사가 부산에 있는 곳은 단 하나도 없다”며 구조적인 문제를 지적했다.

실제로 올해 1분기에도 부산에서 3천400명 가까운 순유출이 발생했으며, 특히 20대와 30대의 순유출률은 각각 -1.4%, -1.1%로 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

현재 부산에 거주 중인 청년층 가운데서도 20.3%이 부산을 떠나고 싶다고 밝혔고, 이중 75.2%는 수도권으로 이주하고 싶다고 응답했으며, 66.5%는 그 이유가 ‘취업’이라고 대답했다.

일자리, 교육, 미래 등 모든 게 서울에 있다는 판단 때문에 청년들이 부산을 떠나고 있다는 뜻이다.

“살 길은 청년이다”… 부산의 파격 정책

지원금
사진 = 연합뉴스

이처럼 청년층 이탈이 심각해지자, 부산시는 해결책으로 ‘부산 청년 취업 성공 풀패키지’ 사업을 제시했다.

이 사업은 청년 고용의 전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 패키지로, 부산시와 고용노동청이 손잡고 맞춤형 일자리 매칭부터 고용 유지까지 전방위로 돕는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금전적 지원인데, 노동청은 참여 기업에 청년 한 명당 최대 720만 원의 인건비를 지원하며, 시는 청년이 1년 이상 중소·중견기업에 재직하면 최대 100만 원의 고용지원금을 지급한다.

이외에도 현장 탐방, 맞춤형 매칭, 사후관리까지 포함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가동된다.

지원금
사진 = 연합뉴스

또한 기업 진단, 고용 환경 개선을 위한 자문까지 함께 진행돼 단순한 취업 알선이 아닌 지속 가능한 고용 환경 조성을 목표로 한다.

참여 자격은 만 39세 이하, 부산에 주민등록이 있는 청년으로, 오는 12월 31일까지 신청이 가능하며 권역별 지정 취업 상담 기관을 통해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번 지원책은 단순한 구직 지원을 넘어 부산의 미래를 건 승부수로, 부산이 ‘소멸 위기의 도시’가 아닌 ‘기회가 있는 도시’로 탈바꿈할 수 있을지 전국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4

  1. 부산시가 맛이간 정책을 하네요 양질의 기업을 유치할 능력이 없다

관심 집중 콘텐츠

Solar Power

“한국 덕분에 세상이 밝아졌어요”… 과하나섬, 148억 태양광 마이크로그리드가 만든 ‘새로운 세상’

더보기
Koryoin

전 국민 25만 원 준다더니 “우리는 한푼도 못 받는대요”… 숨겨진 조건에 ‘아수라장’, 혹시 나도?

더보기
POSCO

견고했던 유럽의 벽 “K-기술 한방에 와르르”… 세계 1위 기업 사로잡은 한국산에 ‘극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