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막는다더니 “오히려 역효과?”… 허점 노린 中의 기습 공세에 업계 ‘발칵’

반덤핑 조사 앞두고 중국산 수입 역주행
국내 철강업계 “피해 확산 막아야”
철강
사진 = 연합뉴스

중국산 열연강판의 지난달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10%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반덤핑 조치를 예고한 가운데, 오히려 수입이 반등하면서 철강 업계가 발칵 뒤집혔다.

막판 밀어내기식 수출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업계와 정부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반덤핑 앞두고 ‘폭탄 물량’ 투하

철강
사진 = 연합뉴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4월 중국산 철강재 수입량은 22만 톤을 넘겼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8% 증가한 수치다.

특히 올해 1분기까지 줄던 열연강판 수입이 다시 늘어난 점이 주목되는데, 1~3월 수입량은 37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7%나 감소했었다.

이에 따라 업계는 정부의 반덤핑 예비판정 발표가 임박한 틈을 타 중국 업체들이 급히 물량을 쏟아내고 있다고 보고 있다.

국내 유통 시장에서 중국산 열연강판은 국산 대비 최대 30% 저렴해, 가격 경쟁력만으로도 충분히 국산 제품을 위협한다는 게 철강업계의 설명이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말 정부에 중국·일본산 열연강판에 대한 반덤핑 조사를 요청했고,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2월 정식 조사를 시작했다.

업계에서는 이르면 8월 예비판정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단순 가공 뒤 ‘세탁’… 우회 덤핑 꼼수까지

철강
사진 = 연합뉴스

후판의 경우 실제로 관세가 적용되자 수입량은 눈에 띄게 줄었다. 지난달 중국산 후판 수입량은 4만 톤으로, 작년 동기 대비 67%나 감소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품목을 위장하거나 간단한 후가공으로 성격을 바꿔 유입된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철강업계는 “관세를 피해 도금강판이나 컬러강판 형태로 우회 수출이 이뤄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정부는 원산지 증명을 강화해 조강 단계부터 ‘메이드 인 차이나’ 여부를 철저히 따지겠다는 입장이다.

산업부는 올해 초 관련 제도를 손보며 우회 덤핑 방지를 위한 조사·판정 근거도 마련했으며, 특히 베트남이나 태국 등 제3국을 거치는 ‘세탁 수입’에 대해서도 본격적인 제재에 나선다.

수익성 흔들린 국내 철강… 미국發 관세도 변수

철강
사진 = 연합뉴스

중국산 저가 공세는 국내 철강사 실적에도 뚜렷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포스코는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17% 증가한 3460억 원을 기록했지만, 현대제철은 190억 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2개 분기 연속 적자 흐름을 이어갔다.

현대제철은 노조와의 임단협 갈등으로 공장 가동률이 떨어지면서 실적 부진을 면치 못했다.

하지만 양사 모두 정부의 반덤핑 규제와 중국 철강사의 감산 조치가 본격화되면 2분기부터 실적이 회복될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쳤다.

철강
사진 = 연합뉴스

현대제철 측은 “중국 내 철강 감산과 정부의 반덤핑 규제가 맞물리면 공급 과잉 현상이 진정될 것”이라고 내다봤으며, 포스코 또한 “자동차와 조선 부문 수요가 유지되면 시장 상황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미국의 철강 수입 규제가 본격화되며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부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각각 25%, 10%의 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한국의 대미 수출은 18.9%나 줄었다. 이에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미국 내 합작 제철소 건설을 통해 장기 대응에 나섰다.

중국산 철강재의 저가 공세와 정부의 반덤핑 규제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국내 철강업계는 복잡한 상황에 직면했다.

품목 변경이나 우회 수입 같은 방식에 대해 당국이 얼마나 실효성 있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업계 피해 규모와 향후 회복 속도가 결정될 전망이다.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

관심 집중 콘텐츠

Bad Bank

16조 빚 갚아준다더니 “이 돈으로 갚는 거였어?”… 자금 출처 밝혀지자 ‘발칵’

더보기
How to Choose Fresh Eggs

“계란 껍데기 숫자에 숨겨진 비밀” … 신선한 계란 고르는 법, 마지막 ‘한 자리’가 핵심

더보기
food distribution industry

25만 원 지원금 받아도 “살 수 있는 게 없어요”… 정부의 ‘긴급 정책’으로 드러난 ‘진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