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4.5일제’ 시범사업 본격 돌입
“일도 가족도 놓치지 않겠다”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주 4.5일제’ 시범사업을 시행하며, 많은 이들이 꿈꿔왔던 직장생활의 변화가 눈앞에 다가왔다.
지난 19일, 경기도는 수원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68개 기업과 함께 ‘주 4.5일제 시범사업’ 업무협약을 맺고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갔다.
참여 기업은 IT업체와 제조업체, 언론사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 구성됐다.
이 사업은 주 4.5일제, 주 35시간제, 격주 4일 근무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며, 노동시간을 줄이되 임금은 줄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전국 최초, 실험적 노동 실험이 시작되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우리가 이 제도를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사람들의 일주일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날 타운홀 미팅에서 “과거 주5일제 도입 당시에도 반발이 컸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당연한 제도가 됐다. 이제 또 한 번의 전환점을 우리가 만들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경기도는 이번 시범사업을 2027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생산성과 직무만족도 등 총 44개 지표를 통해 성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참여 기업들에게는 근로자 1인당 월 최대 26만 원의 임금 보전 장려금과, 기업당 최대 2천만 원의 맞춤형 컨설팅 및 근태관리 시스템이 지원된다. 실질적인 제도 안착을 위한 촘촘한 지원책도 마련됐다.
기업도 만족, 직원도 만족… 새로운 일상의 시작

시범사업에 참여한 IT기업 ‘둡’의 최원석 대표는 “올해부터 주 35시간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직원들의 만족도가 눈에 띄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자녀를 둔 직원들의 반응이 좋았다.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삶의 질이 달라졌다는 피드백이 많다”고 설명했다.
우려도 있었지만 실제로는 근무시간이 줄어들어도 생산성과 개발 속도에 큰 차이가 없었다고 한다.
오히려 이직률이 감소하고, 조직 안정성은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둡은 앞으로 근무시간을 30시간까지 줄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최 대표는 “당초 우려와 달리, 구성원의 몰입도가 오히려 높아졌다. 주4.5일제가 단지 근무일수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조직 문화를 새롭게 만드는 기회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준비 완료… 제도화 논의 본격화

고용노동부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주4.5일제를 실현하기 위한 계획을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했다.
정부는 법정 근로시간을 기존 주 52시간에서 48시간으로 줄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연내에는 ‘실근로시간 단축 지원법(가칭)’을 마련해 단계적인 제도 정착을 도모하겠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근로시간단축위원회’도 구성해 법적·제도적 논의를 구체화할 예정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확정된 바 없지만,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해 제도화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바뀐 일주일, 다시 쓰는 노동의 정의

김동연 지사는 이날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국민의 일주일을 새롭게 설계하고 싶다. 단지 쉬는 날이 늘어나는 게 아니라, 삶의 방식이 바뀌는 것”이라며 제도 도입의 철학을 강조했다.
그는 “중앙정부의 반응이 미온적이었을 때도 경기도는 이를 기획해왔고, 이제는 새 정부가 대통령 공약으로 이를 채택했다”며 “경기도가 시작하면, 대한민국도 바뀐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주 5일제를 처음 도입했던 2002년의 논란을 언급하며 “그때도 ‘경제가 망한다’는 말이 있었지만 지금은 오히려 기본이 됐다. 시대는 변하고 있고, 그 변화의 첫 걸음을 우리가 디뎠다”고 덧붙였다.
경기도에서 첫 발을 내디딘 주 4.5일제가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향후 사회적 공감대와 제도적 뒷받침에 달려 있다.
일 8시간 근무를 7시간으로 줄이는것도 나쁘지않을것 같은뎅
공장에서는 하루12시간 교대근무..누가 거기서 일할려고 하나 돈도 얼마 안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