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강국이라 자부했지만
일본·중국도 뚫은 길, 한국은 ‘3년의 시한부’
규제·지원·속도 모두 다시 짜야 할 때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이 열린 미국 보스턴 현장에서 나온 한마디는 한국 바이오 산업의 현주소를 그대로 드러낸다.
일본과 중국이 이미 치고 나가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한국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질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남은 시간은 단 3~5년으로, 이대로라면 바이오 강국이라는 꿈은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
“한국, 3년 안에 승부 봐야”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16일(현지시간) 보스턴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 3~5년 내 한국 바이오산업이 세계 시장에서 의미 있는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멀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은 후지필름 같은 대기업뿐 아니라 바이오 벤처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중국은 이미 시장 규모 면에서 우리를 넘어섰다”고 했다.
태국과 인도네시아도 공격적으로 투자에 나서며 한국을 빠르게 따라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어 “미국 역시 중국의 거센 추격을 의식해 위기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바이오 행사에 참석하는 것도 미국의 의지를 드러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 부회장은 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위해 정부가 직접 이끌기보다는, 성장을 위한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산업은 민간이 이끌어야 한다. 정부는 플랫폼을 만들어주는 역할에 집중해야 한다”며, 규제 완화와 지원 펀드 확대 등을 제안했다.
규제는 ‘기회’ 아닌 ‘장애물’

정부도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17일 공개한 ‘대한민국 진짜 성장을 위한 전략’ 보고서에서, 바이오 산업을 기술 변화 속도가 빠른 대표 산업으로 지목했다.
보고서는 기존 규제 체계로는 산업 변화를 따라잡을 수 없다고 진단하며, 규제 샌드박스 도입과 선허가 후평가 등 유연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지금의 규제 시스템은 사후 심사에만 치중되어 있으며, 선제적 검토 기능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이는 곧 기업의 혁신을 막고 있다는 의미다.
바이오 산업 특유의 긴 개발 주기와 막대한 자본 투입 문제도 짚었다. 정부는 초기 투자 리스크가 크다는 이유로 민간 자본이 주저하는 현실을 인정하고, 정책금융이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가능성은 충분… 그러나 시간은 없다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한국의 기술력은 여전히 주목받고 있다. 이 부회장은 “세계바이오협회위원회(ICBA)에서 한국은 미국, 일본, 유럽, 인도와 함께 밸류체인 톱5 국가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또 이번 바이오USA 행사에서 한국관 부스 규모가 ‘최대 면적’으로 배정된 점도 의미가 있다. 그는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바이오산업의 가능성을 인정받았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실제 성과도 일부 나타나고 있는데,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를 두고 이 부회장은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가능성만으로는 부족하다. 이 부회장은 “중국 바이오 기업을 만나보면, 과거와 완전히 다르다. 이제는 중국도 무시할 수 없는 시장이 됐다”고 경고했다.

국제 정세도 변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곧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고, 이는 글로벌 의약품 산업 전반에 대한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이 같은 정책 변화는 바이오 기업들의 전략과 수익성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바이오 산업은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 어려운 구조이지만, 다른 나라들은 규제 개선과 투자 확대를 통해 빠르게 앞서가고 있다. 한국도 민간과 정부가 함께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야 한다.
이나라는ㅡ기업이잘돼는꼴을못본다ㅡ그놈의규제
맨날 근로자의 육체 노동이최고다
기업가의 정신노동은 가치없게 대우함
버블시대 일본과 보조금으로 땅짚고 헤엄치는 중국 다음으로 기업하기 쉬운곳이 한국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