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모두가 힘들어져”.. 치매 부르는 습관, 5060 중장년층 “남의 일이 아니다”

‘이것’만 줄여도 뇌가 젊어진다
하버드가 밝힌 놀라운 연구
치매
사진 = 연합뉴스

“은퇴 후 평온한 노후를 기대했지만, 이제는 하루하루가 불안하다.”

중장년층 사이에서 이런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60대 치매 발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건강한 장수를 꿈꾸던 세대가 뜻밖의 복병을 만났다.

단순히 오래 사는 게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 중요한 시대.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빠르게 찾아오는 질병이 인생 후반부의 설계를 무너뜨리고 있다.

치매 관리, 고기 좋아한다면 주목

치매
사진 =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뉴스1)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주목해야 할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버드대 의대와 보건대학원 연구팀은 13만 명을 43년 동안 추적 조사한 끝에 붉은 육류와 가공육을 많이 먹으면 치매 위험이 최대 13% 높아질 수 있다고 발표했다.

하루 1/4인분 이상의 가공육을 먹는 사람은 거의 먹지 않는 사람보다 기억력이나 판단력이 떨어질 위험이 14% 더 컸다.

하루 1인분 이상의 가공되지 않은 붉은 육류를 꾸준히 섭취하는 사람도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16%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사람들이 심장병이나 당뇨병 예방을 위해 식단에 신경 쓰는 경우는 많지만, 뇌 건강에는 신경을 덜 쓰는 것 같다”고 지적하며 붉은 육류와 가공육 섭취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치매를 막아주는 음식은 따로 있다

치매
사진 =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반면, 뇌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을 주는 음식도 있다. 견과류, 생선, 콩류 같은 음식을 적당히 먹으면 치매 위험을 20%까지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루 한 줌(약 30g) 정도의 무염 견과류를 먹는 사람들에게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 이상 먹는다고 추가적인 이점이 생기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적당히 먹는 것만으로도 견과류가 가진 뇌 보호 효과를 충분히 누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치매
사진 =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견과류는 항산화 물질과 좋은 지방, 그리고 염증을 줄이는 성분이 많아 뇌가 건강하게 나이 들도록 돕는다. 생선 역시 오메가-3 지방산 덕분에 뇌 건강을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붉은 육류와 가공육을 줄이고, 대신 견과류와 생선 같은 건강한 음식을 챙기는 작은 변화로 뇌 건강을 지켜보자.

Copyright ⓒ 리포테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Samsung

30년 만에 “한국의 자존심이 무너지나”… 삼중고 닥친 삼성 ‘휘청’

더보기
China

불법 판쳤는데 “이런 기회가 찾아올 줄이야”… ’48조’ 시장 다가오자 ‘웃음꽃’

더보기
Samsung

불황 속에서도 “삼성이 또 해냈다”… 40년 동안 지켜낸 ‘역대급’ 기록에 ‘환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