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강호는 옛말일 뿐
충격의 0-7 패배가 남긴 상처
신태용, 구세주가 될 수 있을까

“이게 진짜 축구인가?” 중국축구협회 회장이 직접 던진 이 말은 더 이상 회피할 수 없는 현실을 드러냈다.
한때 아시아 강호로 군림하던 중국 축구가 최근 일본과 인도네시아에 차례로 무릎을 꿇으며 추락의 끝을 보여주고 있다.
급기야 중국은 2026년 북중미 월드컵 본선 티켓조차 거머쥐지 못했다. 그렇게 한 세기 가까이 외면당해온 ‘축구 굴기’의 꿈은 또 한 번 좌초됐다.
자존심 무너뜨린 대패… “이건 축구가 아니다”

지난 9월 일본전 0-7 참패 이후 촬영된 한 회의 영상에서, 송카이 중국축구협회장은 한숨을 토하며 대표팀을 향한 실망감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그는 “국가대표라 부르기도 민망한 수준”이라며 분노를 터뜨렸다. 과거 아시아 강국으로 불리던 중국 축구는 이제 아시아 3~4류로 전락했고, 일본·호주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냉정한 평가도 덧붙였다.
문제는 성적만이 아니었다. 송 회장은 일본의 유소년 시스템을 예로 들며, 중국이 엘리트 육성과 겸손한 자세를 모두 놓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술도, 태도도, 시스템도 결여된 중국 축구의 총체적 난국이 낱낱이 드러난 셈이다.
신태용 카드는 구원? 또 다른 희생양?

이런 흐름 속에 이반코비치 감독이 최근 경질되며 또다시 감독 교체의 회오리가 불었다.
그의 성적은 14경기 4승, 3차 예선 조 5위라는 초라한 결과였다. 그 후임 후보로 한국의 신태용 전 인도네시아 감독이 언급되면서 축구계가 술렁이고 있다.
신 감독은 지난해 중국을 ‘똥볼 축구’라고 직설적으로 비판했던 인물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제 그가 중국 축구를 구할 수 있는 적임자로 지목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대표팀의 세대교체와 국제 대회 성과를 이끈 지도력을 높이 평가받으며, 중국 내에서도 실리적 선택이라는 시각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찮다. 신 감독이 오랜 시간 쌓은 명성을 구조 개혁 없는 중국 시스템에 맡기기엔 위험 요소가 너무 많다는 지적이다. 내부에서는 정즈 U-21 감독과 같은 자국 인사로 전환하자는 의견도 힘을 얻고 있다.
결국은 시스템… 감독만 바꿔선 달라지지 않는다

중국 축구는 세계 최대 인구와 막대한 자본이라는 강점을 가지고도 20년 넘게 월드컵 본선을 밟지 못했다. 넷이즈 등 현지 언론은 “문제는 언제나 시스템”이라며 감독 교체가 해법이 아님을 강조했다.
7월 한국에서 열리는 동아시아 E-1 챔피언십은 중국이 새 체제를 시험해볼 첫 무대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정식 감독 선임조차 불투명한 상황. 신태용이 중국 축구의 마지막 카드가 될지, 혹은 또 다른 희생양이 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갈데가 없어서 중국을 가느냐?
과거 우리나라 감독이 중국에 가서 어떤 수모를 당했는지 조사좀 해보고 가도 늦지 않을듯
생각이 있으면 가겠나? 인성이라곤 기대할수도
없는 소굴로가겠나? 은혜를 모른다, 역사가 증명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