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수명 증가 둔화, 100세 시대 어려워
연구 결과 “극적인 변화 없으면 한계”
노화 방지 신기술이 돌파구 될까

“우리 아이들은 100세까지 살 수 있을까?”
한때 ‘100세 시대’는 필연적인 미래처럼 여겨졌지만, 최근 연구 결과는 이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인간의 기대수명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지금 태어나는 아이들조차 100세까지 살 확률이 생각보다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일리노이대 제이 올샨스키 교수 연구팀이 국제 학술지 ‘네이처 노화(Nature Aging)’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선진국들의 기대수명 증가 폭이 현저히 둔화했다.
연구팀이 한국, 일본, 미국, 프랑스 등 10개국의 1990~2019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9년에 태어난 아이가 100세까지 생존할 확률은 여성 약 5%, 남성 1.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수명 증가 둔화, 이유는?

연구에 따르면 20세기에는 기대수명이 10년마다 평균 3년씩 증가했지만, 21세기 들어 이 속도가 급격히 느려졌다.
특히 미국은 약물 과다 복용, 총기 사건, 의료 불평등 등의 영향으로 기대수명 증가율이 크게 둔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한국과 홍콩은 경제 성장과 담배 규제 등의 요인으로 비교적 높은 기대수명을 유지했다. 하지만 이들 국가조차도 최근 10년간 증가세가 이전보다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앞으로도 남성의 100세 생존율이 5%, 여성은 15%를 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했다.
홍콩의 경우 2019년생 기준으로 100세까지 생존할 확률이 여성 12.8%, 남성 4.4%로 가장 높았고, 한국은 각각 4.7%와 1.5%였다. 미국은 여성 3.1%, 남성 1.3%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노화 방지 기술이 돌파구 될까

그렇다면 기대수명 증가세 둔화는 되돌릴 수 없는 현상일까? 전문가들은 생물학적 노화를 늦추는 기술이 등장한다면 상황이 달라질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하버드 의대의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는 염색체 말단의 ‘텔로미어’를 보호하는 기술을 연구 중이며, 일본 교토대 야마나카 신야 교수는 노화 세포를 정상 세포로 전환하는 연구로 노벨상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올샨스키 교수 연구팀은 “단순히 노인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사회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며 “기대수명 증가를 전제로 한 정책과 연금 시스템을 재검토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결국, 인간이 노화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려면 혁신적인 의료 기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시스템도 함께 변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오래 살아 뭐할라꼬???
적당히 살다 죽자. 오래살아서 새로 테어나는 애들 앞길 막지말고… 제발 정치는 하지마라. 노인네 눈으로 아무리 잘봐도 젊음이 앞길 막는거다.